갤럭시노트7 교환, 개통한 순서대로…삼성, 이달말까지 전제품 교환 목표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이 배터리 결함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19일부터 각 이동통신사 매장에서 제품 교환을 시작했다.

갤럭시노트7 교환이 시작됐지만 일각에선 혼란스럽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정확히 언제까지, 어디에서 노트7을 바꿀 수 있는지' 잘 모르는 소비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보상 문제에 대한 궁금증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 

   
▲ 갤럭시노트7 교환이 시작됐지만 소비자들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정확히 언제까지, 어디에서 노트7을 바꿀 수 있는지' 잘 모르는 소비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보상 문제에 대한 궁금증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 /삼성전자


20일 업계에 따르면 갤럭시노트7 교환이 시작된 지난 19일 이통사 대리점의 전화벨 소리는 끊이지 않았다. 교환일정을 문의하는 전화다. 

이날 삼성전자는 전국적으로 약 10만대의 새 갤럭시노트7을 공급했다. 교환 시작 첫날 예상보다 큰 혼잡은 없었다. 지금껏 국내에 팔린 갤럭시노트7 기기는 약 40만대로 추정된다. 갤럭시노트7 교환 첫날엔 판매대수중 5% 정도만 기기를 교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20일 새벽 2시부터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 충전을 최대 60%로 제한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진행됐다는 점.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의 안전을 위해 배터리 충전량을 제한했다.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이 되지 않으면 당장 제품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진행돼 당황한 이들도 적지 않다. 

갤럭시노트7 교환을 원하는 한 소비자는 "빨리 제품을 교환하고 싶은데, 제품 구매 순서대로 날짜가 정해져 있어 바로 못 바꾸는 것이 답답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비자는 "'19일부터 갤럭시노트7을 새제품으로 교환해 준다'는 정도의 정보만 알고 있다며 10월 이후의 제품교체는 어디서 해야 하는지, 언제까지인지, 보상 등의 문제를 명확하게 안내 해줬으면 좋겠는데 그렇지 않아 실망이 크다"고 전했다.

이동통신사업체 대리점들도 쏟아지는 문의전화에 업무가 가중 돼 불만이 나오고 있다. 대리점 관계자는 “새 제품 물량이 부족해 ‘시간을 두고 넉넉히 기달려 달라’고 안내하면 덜컥 화를 내는 손님들도 있어 힘들다”고 덧붙였다. 

먼저 이동통신사를 통한 교체는 이달 30일까지만 이뤄질 예정이다. SK텔레콤과 KT는 구매처에서만 교환이 가능하며, LG유플러스는 구매처와 상관없이 전국 매장에서 교환할 수 있다.   

   
▲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결함으로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게 된 점에 대해 사과하며 새 제품으로 교환하는 모든 고객에게 통신비 일부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삼성전자 뉴스룸


직영 온라인몰 'T월드 다이렉트'에서 구매한 고객은 고객센터를 통해 무료 택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지점을 선택해 직접 방문해도 교환할 수 있다. 

KT가 운영하는 직영 온라인몰 '올레샵'에서 갤럭시노트7을 산 고객은 '교환예약 시스템'을 이용해 원하는 직영 매장을 선택하고 예약한 날짜에 맞춰 매장을 찾으면 된다.

기존에 쓰던 갤럭시노트7 기기를 들고 매장을 방문해야 하며, 대여폰을 사용하던 소비자는 삼성서비스센터나 이통사 매장을 찾아 대여폰을 반납한 뒤 기존 갤럭시노트7 기기를 들고 교환매장을 찾아야 한다.

교환 날짜도 개통 순서대로 결정난다. SK텔레콤에서 지난 8월 19일 개통한 고객은 이달 19~23일, 8월 20~24일 개통 고객은 이달 21~24일, 8월 25일~이달 2일 개통 고객은 이달 24~30일 구매한 매장을 찾으면 된다.

LG유플러스에서 지난달 19일 개통한 고객은 19일부터 교환이 가능하다. 8월 20~22일 개통 고객은 20일, 8월 23일~이달 2일 개통 고객은 23일부터 새 제품을 바꿔갈 수 있다. KT는 22일 이후 방문할 것으로 권장하고 원하는 장소에서 받을 수 있는 '교환예약 시스템'을 운영중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결함으로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게 된 점에 대해 사과하며 새 제품으로 교환하는 모든 고객에게 통신비 일부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아직까지 보상과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현재 이통사들과 협의안을 마련 중이며, 3만원 상당의 월 통신료 절감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진다. [미디어펜=신진주 기자]
[미디어펜=신진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