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제45대 대통령에 공식 취임하면서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현지시간으로 20일 미국의 제45대 대통령에 공식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는 그가 대선 주자시절부터 강조하던 '미국 우선주의'를 다시 한 번 재천명했다.

   
▲ 사진=도널드 트럼프 SNS


그는 "우리의 일자리를, 국경을, 부를, 꿈을 되찾겠다"며 "단순한 두 가지 원칙은 미국산 제품을 사고, 미국인을 고용하라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무역, 세금, 이민, 외교 정책과 관련한 모든 결정은 미국 노동자와 가정이 혜택을 누리도록 이뤄질 것"이라 말하고 자국민 위주로 정책을 펴나갈 뜻을 내비쳤다.

트럼프 행정부는 취임식 직후 백악관 홈페이지를 통해 '10년 동안 2500만개 일자리를 만들어 연 4%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탈퇴 가능성도 드러냈다. 그동안 우리 경제가 우려했던 보호무역주의 강화의 실체가 서서히 확인되고 있는 셈이다.

미국이 보호무역을 강화하면 중국 등 신흥국 경기가 냉각되는 후속 효과가 따른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으로서는 직격탄을 맞는 셈이다.

세계은행 통계를 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무역 비중은 84.8%(2015년 기준)로 인근 국가인 중국(41.2%), 일본(36.8%)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이미 한국은행은 중국의 대미 수출이 10% 줄 경우 한국의 수출은 0.36%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은바 있다.

심지어 한미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TPP나 NAFTA를 실제로 폐기하면 연쇄효과로 한미FTA를 재협상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환율 또한 요동치고 있다. 트럼프는 "강한 달러가 우리를 죽인다"며 달러 강세를 여러 차례 비판한바 있다. 달러 가치가 한 달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이유도 그래서다. 

그런데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 내정자는 최근 상원 인준청문회에서 "달러 강세가 중요하다"며 배치되는 발언을 던져 시장의 혼선이 가중되기도 했다.

최근 가시화된 미국 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 또한 주요 변수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한국의 시장금리 상승을 불러올 경우 이미 13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현재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미 상승세로 돌아선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가계의 이자 부담은 연간 9조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트럼프의 취임식과 취임사를 주시하면서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파악해 향후 트럼프 정부 인사에 대한 본격적인 전방위 접촉에 나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필요시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을 가동하며, 트럼프 행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할 '특임대사 임명'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