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컨트롤타워 미전실 해체…수뇌부 사퇴
계열사 CEO 및 이사회 중심 활동 '투명경영'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삼성이 그룹의 컨트롤 타워인 미래전략실 해체를 공식선언했다. 최지성 실장(부회장)과 장충기 차장(사장) 및 팀장 등 미전실 수뇌부도 전원 동반사임한다. 사실상 삼성그룹의 해체를 결정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삼성은 앞으로 계열사별 대표이사(CEO)와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자율경영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 외부 출연금‧기부금 등에 대한 관리 감독도 대폭 강화하는 등 ‘투명경영’ 방안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삼성은 28일 오후 미전실 해체와 그룹 쇄신안을 전격 발표했다. 삼성의 컨트롤 타워가 완전히 자취를 감추는 것은 60여년 만이다. 미전실은 1959년 이병철 선대회장의 비서실이 모태가 됐다.

   
▲ 이준 삼성 미래전략실 부사장이 28일 오후 서울 서초동 삼성사옥 기자실에서 미전실 폐지와 계열사 자율 경영을 핵심으로 한 쇄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삼성컨트롤 타워 60년만에 ‘완전 해체’

삼성은 ‘최순실 국정농단’을 수사한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삼성 관계자 5명의 일괄 기소 방침을 밝힌 뒤 곧바로 미전실 해체와 쇄신안을 발표했다.

이날 오후 삼성그룹 기자실은 찾은 이준 삼성 커뮤니케이션 팀장(부사장)은 “(이 부회장 구속 등)사태가 이렇게 된 모든 책임이 미래전략실에 있음을 통감한다”며 “미래전략실을 완전히 해체한다”고 발표했다.

삼성 미전실의 수뇌부도 동반사퇴를 결정했다. 앞서 특검의 소환을 받았던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은 물론, 미전실 팀장 전원이 사임하기로 했다. 

미전실은 전략팀‧기획팀‧인사지원팀‧법무팀‧커뮤니케이션팀‧경영진단팀‧금융일류화지원팀 등 7개 팀으로 구성돼 있다.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을 포함, 수뇌부 7명이 삼성을 떠나는 셈이다.

승마협회장을 맡았던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도 협회장직을 내려놓는다. 박 사장은 삼성전자 사장직에서도 사임하리로 했다. 승마협회에 파견됐던 삼성 임직원들은 원소속사로 복귀할 예정이다.

   
▲ 삼성 서초사옥 전경 /사진=연합뉴스

계열사별 ‘자율경영’…CEO‧이사회 권한 강화

삼성은 각 계열사별 경영시스템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앞으로 각 계열사는 대표이사와 이사회를 중심으로 자율경영 체계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이 부사장은 “앞으로 각사가 자율경영을 해나가면서 구체적인 후속조치를 마련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재게에서는 효율성 측면에서 삼성이 컨트롤 타워 기능을 완전히 없애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삼성생명‧삼성물산 등 주요 3개 계열사가 관련 분야의 사업과 업무를 관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우선 삼성전자를 축으로 디스플레이·전기·SDI·SDS 등 분야 계열사 사장단들이 IT· 전자·전기 사업을 협의하고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금융계열사는 삼성생명을 축으로 삼성화재·증권·카드·자산운용 등이 힘을 합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중공업 등은 삼성물산을 중심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 그룹의 중요 사안은 계열사 사장 중심의 협의체를 통해 의사를 결정할 것으로 관측된다.

   
▲ /사진=연합뉴스

‘투명 경영’ 체계 구축…“정경유착 끊는다”

삼성은 그룹 사장단 회의를 폐지하고, 대관업무 조직도 해체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삼성은 외부 출연금과 기부금이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이사회 또는 이사회 산하의 위원회의 승인 후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4일 삼성전자는 이사회를 통해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CSR 기금) 운영의 투명성 제고 방안을 확정했다.

삼성전자는 10억원이상의 모든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 지출을 사외이사가 과반수를 차지하는 이사회 의결을 거치고, 그 내용을 외부에 공시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에 대한 사전 심사를 강화하기 위해 ‘심의회의’도 신설한다. 이 회의는 법무를 비롯해 재무, 인사, 커뮤니케이션 부서의 팀장이 참여하고, 매주 한 번씩 모여 심사를 진행한다. 1000만원 이상의 모든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이 심의 대상이다.

삼성전자의 후원금 관련 기준은 삼성 전 계열사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이 같은 삼성의 자구책은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기위한 특단의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미전실 해체와 총수 구속이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외부 후원금에서 촉발됐기 때문이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