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인사시즌에 돌입하면서 신임 금융위원장‧금융감독원장 하마평에도 관심이 쏠린다. 내부 승진과 외부인사 영입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15일 금융권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인사 시즌을 맞아 금융권 수장들도 교체될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문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금융개혁’을 기치로 내걸었던 만큼 색채가 뚜렷한 새 얼굴이 등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임종룡 금융위원장(사진 중앙) 등 금융권 수장들의 교체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우선 임종룡 금융위원장의 경우 교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전임 정권에서 길게 임기를 수행해 ‘박근혜 정권 금융수장’의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8일 관례에 따라 사의를 표명한 상태이기도 하다.

임 위원장의 경우 작년 11월 경제부총리로 지명되면서 한 차례 이동할 뻔한 일도 있었다. 이 때 차기 금융위원장 하마평에 가장 많이 오르내린 인물은 정은보 현 부위원장이었다. 급작스런 인사 변경 과정에서 현 부위원장만큼 수습에 적당한 인물은 없을 것이라는 판단 하에서였다. 

인수위 없이 곧장 임기를 시작한 이번 정권의 상황도 그때와 비슷하다는 분석이 많다. 따라서 여전히 정 부위원장의 ‘승진’ 혹은 ‘업무 대행’ 시나리오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당분간 정 부위원장이 대행 체제를 수행하더라도 결국엔 금융위원장이 외부에서 영입되리라는 견해도 있다. 장관급 직책으로 ‘금융권 수장’이라는 이미지가 있는 자리인 만큼 새 정권의 가치를 보여주는 사람이 등용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김기식‧홍종학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 김광수 전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 등의 이름이 거론된다.

금융감독원장의 경우 좀 더 변수가 많다는 지적이다. 진웅섭 현 금감원장의 임기는 오는 11월까지인데, 문 대통령이 ‘금융감독체계 개편’을 공약으로 내건 상태라 논의사항이 많기 때문이다. 

공약대로라면 금융위원회의 정책과 감독 부문이 분리돼 금감원과의 조율이 불가피하다. 변동이 있을 때까지 진 원장이 임기를 수행하는 모델이 유효하게 부각되는 이유다. 만약 변동이 있더라도 차기 금감원장 후보군으로는 일단 서태종 금감원 수석부원장이 꼽히는 정도다.

한편 금융권 수장 인사는 신임 국무총리의 국회 인준이 끝난 뒤부터 본격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장의 경우 국무총리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아직 총리 인선도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인 만큼, 차기 금융위원장 선임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