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경쟁력 훼손…한국경제 위상 추락 직결
재계 전반 연쇄 부작용 우려…정부 관심 필요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재계 1,2위 삼성과 현대자동차가 가쁜 숨을 몰아쉬고 있다. 두 그룹의 앞날에 먹구름이 드리우면서 재계 전반으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삼성과 현대차의 불확실성 확대는 글로벌 시장에서 ‘메이드인 코리아’의 위상 추락으로 직결될 수 있어 국내 경제 전반에 위기 경고음이 껴지고 있다.

1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총수 공백 리스크, 현대차는 실적하락‧노사갈등‧통상임금 문제로 고민이 커지고 있다. 양사 모두 출구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절치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해법이 잘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 삼성 서초사옥 전경 /사진=연합뉴스

삼성과 현대차는 우리 경제를 이끌고 가는 ‘투톱’이다. 지난해 삼성과 현대차의 수출액은 각각 141조5690억원, 72조4159억원이었다. 두 그룹의 수출액(213조9849억원)이 전체 상장사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9.6%였다.

최근 삼성과 현대차는 ‘위기’라는 단어를 꼬리표처럼 달고 다닌다. 특히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으면서 ‘초비상’이다. 항소심을 앞두고 있지만 이 부회장의 복귀시기를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삼성전자를 비롯해 계열사 대부분이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하고 있지만 2~3년 후에는 이 같은 흐름을 유지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현재 삼성은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전문경영인들이 각 계열사를 책임지는 방식이다. 하지만 그룹의 구심점이 없고, 미래전략실이 해체되면서 그룹 전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조직이 전무하다. 이 때문에 신성장동력 확보와 조직의 효율성 제고가 당면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 부회장이 구축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손상도 삼성의 고민으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 이 부회장은 연중 3분의1 가량을 해외에 머물며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 핵심 거래선과의 스킨십을 강화해왔다.

윤부근 삼성전자 사장은 '국제가전전시회(IFA) 2017'에 앞서 열린 간담회에서 "정보기술(IT)업계는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변화 속에서 사업구조를 재편하는 과정이다. 저희가 사업구조 재편이나 M&A을 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며 "변화가 빨라 배가 가라앉는 것은 순식간이기 때문에 잠도 못 자고 참 무섭다"고 이 부회장 부재에 대한 어려움과 불안감을 토로했다.

또 윤 사장은 최근 인공지능(AI) 사업에서 인수합병(M&A)을 추진했으나 막판 협상에서 무산된 사례를 거론했다. 이 부회장이 자리를 비운 뒤 사내에 이사회 산하 경영위원회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아 타이밍을 놓쳤다는 것이다. 실제 그룹의 맏형격인 삼성전자는 올해 들어 대형 M&A가 한 건도 없다.

   
▲ 현대차그룹 양재동 사옥 전경 /사진=연합뉴스

전날 법원이 ‘통상임금’ 소송에서 기아자동차 노조의 손을 들어주면서 현대차는 ‘멘털붕괴’다. 상급법원의 판결이 남았지만 재판 결과가 현대차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올해 들어 현대차는 악재가 겹치는 모습니다. 최근 현대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가 급감하고 있다. 상반기에 현대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219만7689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8.2% 감소한 것이다.

여기에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영향으로 중국공장 5곳 가운데 4곳의 가동이 한때 중단되기도 했다. 현재 공장 설비는 다시 돌아가고 있지만 가동 중단의 불씨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현대차는 노사갈등이라는 시한폭탄도 안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차기 집행부가 선출되는 10월 이후에 교섭을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당분간 생산효율성을 높이기 힘든 상황이다.

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에 따른 경영 부담도 예고되고 있다. 한미 FTA 개정을 요구하는 미국 측이 자동차 무역 수지 불균형을 물고 늘어질 가능성이 크다.

재계에서는 정부가 삼성과 현대차의 위기를 수수방관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우리 경제를 위해서라도 정부가 숨구멍을 뚫어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과 현대차는 우리의 수출 경쟁력과 직결되는 핵심 기업들이다. 두 그룹이 흔들리면 협력사 등에 미칠 악영향 등 연쇄 작용이 불가피하다”라며 “기업의 힘이 미치기 어려운 영역에서 정부의 역할과 방향 설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