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하늘 기자] 일부 고신용자들 가운데 여러건의 대출을 동시에 받는 ‘동시대출’이 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동시대출자의 연체율이 높다는데 있다. 

이에 신용정보사 등에서 실시간 대출정보 공유 서비스를 저축은행에 제공하는 등 동시대출 대책 마련에 나섰다. 

   
▲ 사진=연합뉴스


18일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2015~2016년 은행, 저축은행, 대부업, 보험, 신용카드, 할부금융, 상호금융 등 전 금융권에서 취급된 업권 내 동시대출 규모는 16조원 규모다.

동시대출이란 한번에 여러건의 대출을 동시에 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금융기관 간 대출사실 공유에 시차가 생기는 것을 악용한 일종의 ‘꼼수대출’로 통한다. 

대출 후 신용정보 집중기관인 한국신용정보원에 해당 대출정보가 등록돼 금융기관이 이를 공유하기까지 최대 5영업일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러한 동시대출자의 연체율과 부실률이 일반 대출의 경우보다 크다는 것이다. 

예금보험공사와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 저축은행의 동시 대출 연체율은 18.2%다.

이는 일반 대출 연체율인 9.3%보다 약 2배정도 높은 수치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저축은행 간 동시대출의 불량률도 7%로 일반대출 5.3%보다 1.7%포인트 높았다. 

이에 동시대출의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감독원과 신용정보사 등에선 실시간 대출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출금 송금 직전 대출 여부 재확인 프로세스 추가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실제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실시간 대출정보 공유 서비스를 통해 동시대출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이 됐다”며 “현 정부의 대출총량규제 정책과 최고금리 인하 등의 이슈와 맞물리며 동시대출이 자연스레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동시대출 등을 이용하는 부정적 채무자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방책을 고심했다”며 “지난해부턴 몇몇개의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대출금 송금 직전 실시간 대출정보 공유 서비스 확인 프로세스를 추가하도록 안내 공문을 발송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가계신용대출이 주력인 약 20개 저축은행사에선 해당 프로세스 개선이 실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해당 서비스 도입 이후 사전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많은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실제 일부 저축은행에선 부실률 감소가 가시화 되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