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강화에 지역별 집값 차별화 심화…내년에는 '입주폭탄' 우려
탄핵정국으로 시작된 2017년 한 해도 이제 보름여 밖에 남지 않았다. 탄핵정국과 문재인 정부 출범, 그리고 북핵과 사드 등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에서 주택시장도 안갯속을 걸어야만 했다. 여기에 6·19대책과 8·2대책 등 잇따라 발표된 부동산 규제책은 주택 공급자나 소비자 모두에게 어려운 결정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 어느 해 보다 다사다난했던 2017년 주택시장을 공급실적과 청약전쟁, 차별화 등 주요 키워드로 정리해 본다.[편집자주]


[2017 주택시장 리포트-차별화]

규제강화에 지역별 집값 양극화 심화…내년에도 '입주폭탄' 


[미디어펜=김병화 기자] 2017년은 주택시장에 지역별 차별화가 뚜렷한 한해였다.

6·19부동산대책을 시작으로 8·2부동산대책, 10·24 가계부채대책 등 잇따른 고강도 규제에 주택시장 전반은 관망세로 접어들었다.

하지만 강남 재건축 단지와 한강변 아파트 등을 서울‧수도권 주요지역을 중심으로 주택시장은 다시 과열됐고, 입주물량이 쏟아지면서 침체를 면하지 못한 지방 주택시장과 온도 차를 보였다.  

내년에는 다양한 부동산 규제가 본격 시행되고 금리인상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주택시장의 지역별 차별화도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 /사진=미디어펜


12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집값 상승률은 1월 0.02%를 기록한데 이어 2월 0.01%로 최저점을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주택 청약자격을 대폭 강화한 11‧3부동산대책의 영향이었다.

이후 3월(0.06%) 상승 전환한 매매가격은 조기대선 이후 6월(0.21%)까지 상승세를 이어가다 6‧19부동산대책 영향으로 7월(0.18%) 하락 전환하기도 했지만 8월 0.25%로 최고점을 기록했다. 8·2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와 노원·성동구 등 재건축·재개발 지역의 매매가격이 급등한 영향이었다.

8·2대책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매매가격 상승률은 9월 0.12%로 대폭 하락했고, 10·24 가계부채대책이 발표된 10월과 11월 0.13%를 기록하며 보합세를 이어가고 있다.

월별 지표에서 주택시장의 혼란이 엿보였다면 연간 지표에서는 지역별 온도 차를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1.4% 상승했다. 지난해 동기(0.6%)보다 2배가 넘는 수준이다.

지방은 0.7% 상승하는데 그쳤지만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이 2.1% 오르며 전국 주택시장의 상승세를 견인했다.

특히 강남 4구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말보다 4.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아파트 가격이 1.0%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5배 가까이 오른 것이다. 내년 1월부터 초과이익환수제가 다시 시행되는 가운데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10월 말 기준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6월 말 대비 2.0% 상승하며 같은 기간 0.2% 상승한 일반 아파트보다 높았다.

반면 수도권 이외 지역의 주택 매매가격은 평균 0.3% 하락했다. 울산(–0.9%)은 하락세로 전환됐고 충북·충남과 경북·경남 모두 하락세를 기록했다.

지방 혁신도시 건설이 마무리됐지만 수요가 부족했고, 특히 호황기 공급됐던 아파트들의 입주가 몰리며 매매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입주물량은 내년에도 쏟아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내년 1월부터 3월까지 전국에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은 12만8239가구에 달한다. 이는 올해 같은 기간의 입주물량 7만9000가구보다 63.3% 증가한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입주물량이 5만5939가구로 올해보다 70.7% 늘었고, 지방은 7만2300가구로 58.0% 증가했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내년 초 각종 규제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입주물량이 쏟아지고, 금리 상승세가 이어지며 주택시장의 매매거래는 감소할 것”이라며 “입주가 집중되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입지여건이 좋은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디어펜=김병화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