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리튬사업 잰걸음…염호 확보 진행중
켐택 출신 최정우 내정자 첫 과제도 '리튬'
포스코 철강 본업 대신 비철강 위주 갈까?
[미디어펜=박유진 기자]"아르헨티나를 대상으로 리튬 증설을 위한 염호 확보를 진행 중이다. 2020년까지 최소 2만톤까지 생산량을 끌어올릴 계획이다.(2018년 1월 24일, 포스코 IR 설명회에서)"

철강 본업의 경쟁력이 악화되자 포스코가 비철강 비중을 늘리며 새로운 수익 창출에 나서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성장동력인 '소재' 부문에 집중하는 상태로 전기차 배터리의 원재료인 리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종합소재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에서다.

포스코는 지난해 말 삼성SDI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칠레 생산진흥청(CORFO)의 리튬 프로젝트에 뛰어들었고 올해 3월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5월에는 호주 리튬업체 갤럭시 리소스로부터 아르헨티나 살타주에 위치한 염호 광권 합의서를 체결하는데 성공했다. 본계약 체결만 남긴 상태로 오는 8월 개최될 이사회를 통해 그동안의 성과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됐다.

   
▲ 리튬 생산 과정 모습/사진=칠레 생산진흥청 제공


천연자원인 리튬 사업의 경우 일명 삼각지대 국가라 불리는 칠레,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등에서만 추출된다. 때문에 다른 국가의 기업들은 지분권 인수 등과 같은 탐사 발굴 프로젝트에 합류하는 조건으로 사업권을 획득하고 있다.

리튬 반출을 허용하는 국가들은 자국 내 대규모 프로젝트를 위한 해외 기업의 자금 조달, 일자리 창출 등 경제력 향상을 위해 해외 기업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 중이다.
 
다만 리튬 추출양의 경우 가져갈 수 있는 양이 쿼터로 정해져 있고 공장 설립 등이 필수로 전제돼 당장의 성과는 거두기 힘든 상태다.

공급 국가가 수급 조절을 위해 쿼터량을 축소시킬 시 발생하는 리스크도 존재하고 중국 등이 막대한 자금력을 앞세워 국내로선 사업 유치도 어려운 게 현실이다.

올해 초 칠레 리튬 프로젝트 사업을 체결한 포스코 또한 당시 중국 등에 밀려 전체 금액(7916억1600만원)의 투자 비중은 7%에 그쳤다.

또 리튬 사업의 경우 탐사 및 개발시설 건설, 생산에 이르기까지 막대한 자금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당장의 실적으로 이어지기는 어렵다.

포스코는 오는 2030까지 리튬에서 매출 2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지난해까지 매출 61억원을 달성해 실적으로 연결되기까진 장기간 호흡이 필요한 상태다.

포스코는 올해 초 진행한 '2017 실적 컨퍼런스'에서 리튬 생산 케파에 대해 2500t이라고 밝혔지만 판매량은 161톤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원재료 확보가 제한돼 매출 증가로 이어지지 않은 것이다.

   
▲ 최정우 포스코 차기 회장 내정자의 모습/사진=포스코 제공


다음달 새롭게 선임될 최정우 내정자의 어깨도 한층 무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최 내정자는 다음달 27일 개최되는 임시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통해 신규 선임될 예정인데, 취임 이후 첫 과제로 아르헨티나 염호 광산 본계약 건을 받아들게 됐다.

최 내정자의 경우 그룹 소재 분야 핵심 계열사인 포스코켐텍 사장 등을 역임해 기회라는 반응도 있다.

포스코켐택은 2차전지의 주요 소재인 음극재와 프리미엄 침상코크스 등 탄소소재 사업에 주력해 온 비철강 계열사다.

특히 최 내정자는 2014년부터 진행된 그룹 구조조정을 견인한 인물로 철강 부문 계열사를 주로 정리해왔기 때문에 향후 비철강 부문에 힘을 실을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포스코는 지난 2015년 사상 첫 적자를 낸 이후 지난해까지 계열사들을 정리하는 구조조정을 펼쳐왔다. 그 결과 49곳에 달했던 계열사는 38곳까지 줄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포스코의 철강 계열사는 2014년 11곳에서 지난해 5곳까지 정리된 반면 비철강 부문은 38곳에서 33곳으로 축소됐다.

지난해까지 포스코의 실적에는 계열사 정리로 인한 일회성 비용 등이 반영됐지만 올해부터는 이를 기대하기 어렵다.

최 내정자로선 당장 사업 부문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마련해야 하는 상태로 향후 신성장 사업인 리튬 사업 등에 주력할 가능성이 높다.
[미디어펜=박유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