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하늘 기자] 올여름 사상 최악의 폭염으로 온열질환 환자 급증했다. 특히 갈수록 폭염이 더욱 강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에너지 빈곤층 상당수가 온열질환 위험에 크게 노출돼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보험업계 전문가는 국내에도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냉방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 사진=연합뉴스


8일 질병관리본부는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 올해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전년 동기간(5월20일~7월21일)과 비교했을 때 61% 급증했다고 밝혔다.

발생 장소는 야외작업과 논·밭일을 하던 중 가장 많은 환자(43.5%)가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21.8%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65세 이상이 28.4%로 장년과 고령층이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같은 고열 환경에서도 에너지 빈곤 여부에 따른 온열질환 양극화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소비가 높은 계층과 비교했을 때 에너지 빈곤층은 비용부담 때문에 여름철 무더위에도 냉방 장치를 가동하기 힘들어 온열질환에 비교적 쉽게 노출될 우려가 있다.

실제 지난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건강보험공단 DB를 기반으로 보험료분위별 온열질환자 발생 비율을 분석한 결과, 0분위 환자 발생 비율이 다른 분위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에너지시민연대가 올해 발표한 ‘2018년도 여름철 빈곤층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중 약 68%가 폭염으로 어지럼증과 두통을 경험했다. 폭염으로 인한 호흡 곤란과 실신 경험을 앓는 등의 위험 수위를 경험한 경우도 약 12%에 달했다.

현재 국내에서 에너지 빈곤층을 위한 효과적인 온열질환 관련 정책은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지금까지 한국 주거복지는 난방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상대적으로 폭염과 온열질환 대처가 미비하다.

이에 보험업계 전문가는 국내에서도 지속적인 온열질환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소영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최근 일본에서는 에너지 빈곤층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의 중요성 인식을 바탕으로 한 냉방복지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며 “한국에서도 한시적인 요금 완화 정책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일본의 냉방복지 정책 같은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제도 마련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실제 섭씨 40도를 돌파하는 더위가 지속되는 일본에서는 지난 8월 1일부터 에너지 빈곤층의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한때 ‘사치품’으로 분류되던 에어컨의 구입비용을 생활필수품으로 인정하고, 생활보호 대상 세대에 최대 5만엔(약 50만원)까지 지원하는 ‘냉방복지’ 제도가 시행됐다.

이에 안 연구원은 “연이은 폭염으로 온열질환 위험에 노출된 한국인들에게 에어컨 사용은 사치재가 아니다"라며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에 노출된 에너지 빈곤층을 위해 일본의 냉방 복지 정책 같은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대처 방안을 수립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