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자국 산업 보호 등 리스크 상존…신산업 분야 협력 강화해야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전 세계가 인도 서비스 산업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제조업 투자에 몰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31일 발표한 '최근 인도 경제동향과 투자환경 진단'에 따르면 2010~2018년 전 세계의 인도 외국인직접투자(FDI)는 54.4% 이상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중국과 아세안은 21.2%, 31.6%가 느는데 그쳤다.

지난해 기준 신남방 국가 가운데 진출국에 생산시설을 직접 설립하는 그린필드 투자의 경우 인도가 802건으로 베트남(290건)의 2.8배, 인도네시아(133건)의 6배에 달했다.

인도에 대한 국가별 FDI 비중은 싱가포르(37.4%·151억달러), 모리셔스(20.5%·83억달러), 네덜란드(8%·32억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산업별로는 은행·보험·아웃소싱 등 서비스 산업이 28.4%(83억달러)로 가장 높았고, 컴퓨터(20%·58억달러)와 자동차(8%·23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 전경/사진=한국무역협회


보고서는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인도 FDI는 10억달러가 넘지만 이 중 88.3%가 제조업으로, 서비스업 등 다른 유망 산업 진출은 더딘 편"이라며 "인도가 제조업을 중심으로 반덤핑 규제를 하는 등 자국 산업 보호를 강화하고 있어 투자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전 세계의 인도 투자가 집중되고 있는 산업은 서비스·통신·건설 인프라 등"이라면서 "자동차 및 트레일러, 금속가공제품, 화학물질 및 제품 등에 치중하는 우리 기업들의 투자방향과도 다르다"고 덧붙였다.

조의윤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원은 "인도의 투자환경이 개선되고는 있지만 경기 침체 및 자국 산업 보호 등 여러 위험요소가 상존해 대책을 마련한 뒤 진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바이오·IT·에너지 등 양국 시너지가 큰 신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면서 무역구제조치 사전 예방과 기업 애로해소 활동을 병행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