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구축 문제 여전…최근 해체비용 급증
트렉레코드 부족 탓 해외시장 진출 난항…시장규모도 불확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참치를 해체하고 부위별로 판매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가 높아지는 것처럼 해체는 이전 보다 이득이 있을 때 진행하는 것으로, 원전의 경우 발전소 운영 보다 부지를 원상태로 돌려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나을 때 작업이 진행된다."

송종순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최근 온라인을 통해 진행된 '핵공감클라쓰'에서 "원전 해체는 계획수립→핵연료 인출→방사능 측정→제염→절단·분해→폐기물 처리→철거→부지 개방 순으로 이뤄진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송 교수는 "전세계 원전 678기 중 가동 중인 발전소는 449기, 건설 중인 곳은 55기"라며 "영구정지된 원전은 174기 중 해체가 완료된 것은 21기로, 상업로를 해체한 경험은 미국(8기)만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30년 이상 가동된 원전이 273기(61.4%)에 달해 2020년대 이후 해체시장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이지만, 국가별 정책 및 원전사업자의 재원 조달 여부에 따라 착수시기가 달라지는 등 시장구조가 단속적으로 형성됐다는 점에서 불확실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송 교수는 "해체 실행에도 10~15년이 필요하고, 계속운전 인허가 정책 등에 따라 발전소 운영이 유동적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면서 "우리 기업들에게 트렉레코드가 없는 탓에 해외시장 진출도 쉽지 않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1986년 사고가 발생한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은 지금까지 원자로 가동을 멈췄으나, 본격적인 해체가 시행되지 않고 있다.

   
▲ 고리 원전 1·2호기 전경/사진=한국수력원자력


송 교수는 "정부는 고리 1호기를 통해 실적을 쌓자는 계획을 갖고 있으나, 원자로 내 핵연료를 인출하고 수조에 담긴 사용후핵연료를 별도의 시설에 보관해야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데 아직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세계 평균 해체비용은 사용후핵연료 저장비용을 포함해 발전소 1기당 6546억원 상당"이라며 "우리도 2015년까지는 이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2017년 이후 8129억원 규모로 급증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일본·독일에 이은 것으로, 미국(7800억원) 보다 높다.

그는 "원전 해체 방식은 즉시해체·지연해체·영구밀봉 등 크게 3가지가 있다"면서 "국내의 경우 고리 1호기는 즉시해체 하되, 전체적으로는 기간 단축 보다는 기술을 축적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는 전략"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한국수력원자력은 해체에 필요한 기술 58개 중 51개를 확보했고, 내년까지 개발을 마친다는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송 교수는 "즉시해체는 운영정지된 발전소의 해체 인허가 취득 후 기기·구조물·방사성 오염 폐기물 등을 제염 및 해체하는 방식"이라며 "부지 재사용 및 경험인력 활동 등이 용이해 독일과 프랑스 등 주요 원전운영 국가가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부연했다.

이어 "원전을 해체하면 8만드럼에 달하는 방사성폐기물이 나온다"면서 "우리나라는 1만4500드럼을 최종 처분하기로 했기 때문에 이를 줄이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설파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