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유통·보관 관련 정부 가이드라인 없어
"유통 신속도에 따라 백신 상용화 속도 갈릴 것"
[미디어펜=김견희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한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물류, 유통사 선정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지만 정부는 이와 관련한 언급이 없어 접종 시행 계획에 차질을 빚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 용마로지스 안성허브센터./사진=동아쏘시오홀딩스 제공


21일 업계에 따르면 의약품 운송 기업들은 선제적 대비를 하는 반면 백신 유통사업자 선정과 관련한 정부의 지침은 깜깜무소식이다. 조달청 입찰 공고는 물론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백신 유통·보관 가이드라인도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정부는 내달부터 본격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나서겠다고 공언했지만 본격 접종을 위한 보관, 유통망 선정도 아직 못한 것이다. 이에 대해 의약품 운송 업체 관계자는 "입찰 방식이나 물류 운영 방침 등 아직까지 가이드라인이 나온 게 없어 마냥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정부의 계획은 국토부가 백신 항공수송 지원을, 국방부가 유통을 전담한다는 역할분담뿐이다. 어떤 업체가 수송을 할지 또는 백신 유통, 보관 가이드라인을 어떻게 준수해야하는지 구체적인 언급이 없어 접종 시행일이 자칫 더 늦어지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제기된다. 

또 지난해 독감백신 사태처럼 운송, 유통망에 구멍이 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 초저온 배송을 요구하는 백신은 운송 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촘촘한 운송망을 먼저 구축하는게 관건이다. 만일 그렇지 못한다면 지난해 독감 백신과 같이 전량 폐기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 백신 중 영하 70도에 달하는 초저온유통을 요구하는 제품도 있어 정부의 지침 발표가 빠를 수록 유통사에선 시간에 쫓기지 않고 만반의 준비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통 과정을 얼만큼 정확하고 신속하게 하느냐에 따라 상용화의 속도도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업계에선 다음주 중 이와 관련한 정부의 발표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함께 백신 유통 업체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곳은 동아쏘시오그룹의 자회사 용마로지스와 GC의 자회사GC녹십자랩셀 등이다. 

용마로지스는 지난 40여 년간 의약품을 운송해온 이력이 있으며 현재 국내 배송 물량 중 70%를 담당한다. 용마로지는 한국의 코로나19 백신 도입에 앞서 삼성SDS, 한국초저온과 백신 유통을 모의 실험하기도 했다. 

GC녹십자랩셀도 의약품 운송 전문 업체라는 점에서 유력 후보로 점쳐진다. 이 회사는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온도를 추적할 수 있는 운송 체계를 갖췄다. 정부과제를 맡고 있다는 점도 코로나19 백신 유통사로 선정될 가능성에 힘을 보탠다. 현재 이 회사는 전국의 코로나19 검사 검체를 수거, 운송하는 역할을 수행 중이다. 

이 외에 콜드체인(초저온 운송 체계)을 갖춘 CJ대한통운도 후보로 거론된다. 이 회사는 우수의약품 유통관리기준(KGSP) 인증을 획득한 3000평 규모의 허브센터와 전국 11개 의약품 전담 지역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국내로 도입되는 첫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가 아닌 국제 백신 공급체인 코백스(COVAX)를 통한 화이자 제품으로 점쳐진다. 초도 물량은 5만 명분으로 알려졌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