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기 가동횟수, 3년 만에 26% 증가…대당 연간 100회 이상 가동 중단·재가동
가동초기 평균농도, 정상가동시 대비 155배…LNG발전량 50% 확대시 악화 우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정부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높이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액화천연가스(LNG)발전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산화탄소(CO2) 배출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LNG발전기 가동횟수는 1만789회로, 2017년 대비 26%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가동된 발전설비가 96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대당 연간 100회 이상 온·오프를 반복한 것이다.

최근 발표된 한국전력공사 전력통계속보를 보면 가스발전 설비용량은 2017년 3만7854MW에서 지난해 4만1170MW로 늘어났으나, 발전량은 12만6039GWh에서 2018년 15만GWh를 넘긴 뒤 14만5000GWh 수준으로 떨어졌다.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이 같은 기간 1만976MW에서 2만862MW, 발전량도 3만817GWh에서 3만7830GWh로 많아진 여파를 흡수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은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면 변동성이 더 커질 전망으로, LNG발전기 가동·중단이 잦아질 수밖에 없다"면서 "LNG발전은 가동 초기 불완전 연소로 다량의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된다"고 설파했다.

   
▲ 포스코에너지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소 5·6호기/사진=포스코에너지


실제로 국립환경과학원이 조사한 결과 가동 초기 평균 CO2 농도(928~1666ppm)는 정상가동시 보다 15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마에 포함되는 정신작용물질 중 하나로 환각 증상 등을 야기할 수 있는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의 경우 최소 513배 배출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동서발전도 LNG발전소의 가스터빈 불완전연소 과정에서 일산화탄소(CO)가 최대 2000ppm까지 검출된다는 내부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환경부가 정한 소각시설 오염물질 최대 허용기준의 40배에 달하는 양이다.

감사원이 한국대기환경학회에 LNG발전소가 1일 1회 이상 가동·중지를 반복하는 상황에 대해 자문해 보니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5배 정도 증가했을 때 발전소 인근 지역에 미칠 영향(PM 2.5 농도)은 최대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미세먼지 저감정책에도 반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업계는 LNG발전량이 2034년 59.1GW까지 확대되면 이같은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결국 탄소중립도 저해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 탄소 감축이 쉽지 않다는 호소를 하고 있음에도 분야별 로드맵을 만들어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것과 상충된다는 것이다.

이는 태양광발전량이 급감하면 이를 만회하기 위해 100대 이상의 LNG발전기를 가동하고, 일출시 중단해야 한다는 까닭으로 풀이된다. 바람의 세기에 따라 풍력발전 출력이 변하는 것도 설비 가동 여부에 여파를 끼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를 공급하겠다'던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도 실현되지 않고 있는 셈이지만, 탈원전·탈석탄을 지속하는 가운데 재생에너지를 늘리면 LNG발전량을 높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