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첫날부터 핵심지지층 투표 끌어올리기
야, 본투표까지 '정권 심판' 중도표심 겨냥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2일 4·7 재보궐선거의 뜨거운 막이 올랐다. 재보선 사전투표가 이날 오전 6시 서울과 부산 등 전국 722개 사전투표소에서 일제히 시작했다.

세간의 관심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궐위 여파에 따른 서울시장 보궐선거다. 양강으로 꼽히는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와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 간의 치열한 선거전이 펼쳐지고 있다.

2일부터 3일까지 양일간 열리는 사전투표에서도 양측은 결 다른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 사전투표 투표율이 양 후보 중 누구의 손을 들어줄지 관심이 쏠린다. 다른 세대에 비해 부동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20~30대의 경우, 서울 지역 전체 유권자 중 34.8%에 달할 정도다.

   
▲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사진 좌측)가 4월 2일 종로구청 3층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자신의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사진 우측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가 3월 31일 서울 동작구 집중유세 후 지지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각 후보 캠프 제공
박영선 후보는 2일 오전 정치권 인사 중 사전투표를 가장 먼저 할 정도로 투표율 끌어올리기 전략에 나섰다.

2일은 평일이지만 3일은 주말 휴일이라는 점을 감안해 조직력을 앞세워 핵심 지지층을 최대한 투표장으로 불러 모을 복안이다. 40대와 진보층 등 지지층 투표율을 높일수록 여당에 유리하다는 계산에서다.

박 후보는 이날 사전투표 직후 기자들을 만나 "많은 분들이 사전투표를 해주십사 말씀드린다"며 "선거 유불리를 떠나 투표에 많은 분들이 참여하시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사전투표는 관심의 반영이다. 유권자들의 관심이 사전투표 투표율에 담겨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오전부터 자신의 SNS에 사전투표 인증샷을 올리면서 지원 사격에 나섰다. 김영춘 부산시장 후보를 비롯해 이낙연 상임 선대위원장 또한 예정을 하루 앞당겨 이날 사전투표했다.

반면 오세훈 후보는 선거 당일인 7일 본투표에 나선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마찬가지다. 다만 당 차원에서 사전투표를 적극 권장하고 나서, 사전투표 개시일부터 7일까지 계속해서 '정권 심판론'을 강조해 중도 표심을 공략할 의도로 읽힌다.

김종인 위원장은 국회에서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고 "꼭 투표해서 문재인 정부의 잘못된 폭주를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주호영 원내대표 또한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이날 인터뷰를 갖고 "걱정 말고 투표하시라. 선관위 관리 문제를 점검했고 부정 의심 소지를 없애는 장치를 많이 만들었다"고 당부했다.

오 후보는 사전투표 시작일인 이날 마포·양천·구로구 등 상대적 취약지로 꼽히는 서울 서부권에 대한 집중 공략에 나섰다.

오 후보는 이날 민주당의 '부동산정책 실패 사과'에 대해 "이제 선거 며칠 남겨놓고 민주당 지도부가 고개 숙이기 시작했다. 여러분이 두려워지기 시작한 것"이라며 "선거 끝나고 그렇게 할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번 사전투표 투표율은 가장 최근 선거인 지난해 21대 총선보다는 다소 낮은 수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투표율은 2.74%(서울 2.86%·부산 2.60%)로 집계됐다. 21대 총선 같은 시간 기준 투표율은 3.72%, 2018년 지방선거 3.03%, 2017년 대선 3.53%였다.

아직 시작이라 양일간 사전투표를 마친 후 최종 투표율이 얼마나 될지 예단하기 어렵다. 양당의 지지층 투표 독려와 유권자 선택이 판가름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나온 조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살피면 대체적으로 '민주당 지지' 성향이 강한 40대와 진보층에서 사전투표 참여 의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권 심판'을 벼르는 2030대 또한 사전투표 의향이 높아 속단하기 힘들다.

이번 사전투표는 2~3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된다.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본인 사진이 첨부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별도 신고나 주소지와 무관하게 선거 실시 지역의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자유로이 투표할 수 있다. 사전투표소 위치는 중앙선관위 홈페이지나 포털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