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해제는 최선책" VS "아직 일러"
[미디어펜=김견희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18일 완전 해제된 가운데, 이를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시각은 엇갈린다. 

   
▲ 사진=픽사베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15일 방역사항과 관련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사적모임 인원 △다중시설 이용시간 △행사·집회 △종교활동, 실내 취식금지 등이 종료된다. 이는 2020년 3월 거리두기가 시행된 이후 2년 1개월 만이다. 또 감염병 등급을 1급에서 2급으로 조정하는 등 코로나19와 함께 일상을 재개하고 일상적인 진료 체계를 갖추기 위해 준비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방역당국은 설명했다.
 
김신우 경북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없는 노릇이다"며 "분명하게 괜찮다고 말할 수 없고 또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대한 결과를 미리 알 수는 없지만, 정부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대책이 종료되더라도 '개인적 거리두기'는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직 집단면역이 형성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감염 위험도는 여전히 높다"며 "이웃과 나를 지키기 위해서 마스크 착용에 신경을 쓰는 등 스스로 방역을 해야하는 시기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임산부를 비롯한 고령자, 심장병이나 투석 환자 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등 취약계층의 가족이라면 개별 방역에 만전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거리두기 전면 해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오미크론 변이 여파로 최근까지도 하루 10만 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는 데다가 샤이 오미크론 환자까지 고려한다면 거리두기 해제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역주행하듯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늘어가는데 2월부터 오미크론 방역 대응체계로 전환해서 단계적으로 완화한 덕분에 2만 명 이상 사망자가 발생했다"며 "WHO(세계보건기구)도 펜데믹 종식을 선언하지 않았으며 현재도 진행 중인 감염병인데 정부가 너무 이른 시기에 손을 떼는 것이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특히 감염병 등급을 2급에서 1급으로 낮추고 4주 간 이행 기간을 거쳐 내달 22일부터 치료비와 생활지원비 지원이 중단된다는 것은 코로나19 책임을 전적으로 국민 스스로에게 전가하겠다는 뜻이다"고 말했다.

또 그는 신종변이 출현, 시간 경과에 따른 접종·자연면역 효과 감소, 실내활동 증가 등 계절적 요인에 따른 인플루엔자·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SV 등 동시 유행 등 재확산 위험요인도 여전하다고도 설명했다.

김 교수는 "집단면역도 환상이며 불가능하다고 본다"며 "3~4개월이 지나면 항체가가 떨어져서 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며 "날씨가 쌀쌀해지는 가을이나 겨울 변이 코로나19까지 겹친다면 또 다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는 우려도 있다"고 했다.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됐지만 실내에서 거리를 두고 실내·외 마스크 착용, 손 씻기 개인 방역 등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는 것에는 전문가들이 공통된 의견을 보였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