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영 행보 확대 본격화…1심 기간 최소화 노력 필요
삼성이 ‘이재용 회장’ 시대에 돌입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폭하는 가운데 삼성은 ‘이재용 리더십’을 중심으로 ‘초격차 전략’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회장은 삼성의 혁신 시계를 더욱 빨리 돌릴 것으로 보인다. 경영 환경이 악화하고 있지만 삼성의 미래사업 투자와 인수합병(M&A) 추진도 속도를 늦추지 않을 전망이다. 이 회장이 끊임 없이 언급한 △기술 △인재 △사회공헌 키워드도 더욱 강조될 가능성이 크다. 향후 이 회장을 중심으로 변화할 삼성을 조명해 본다. <편집자 주>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승진하면서 재계는 이 회장과 삼성의 시너지 확대를 예상하고 있다. 그동안 삼성 미래 사업에 큰 힘을 더해온 이 회장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앞으로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31일 재계에 등에 따르면 이 회장은 앞으로 글로벌 경영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삼성의 미래 전략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 9월10일(현지시간) 삼성엔지니어링 도스보카스 정유공장 건설 현장을 찾아 직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앞서 이 회장은 반도체, 5G 통신, 바이오 등 다양한 사업에서 굴지의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교류하면서 삼성의 가능성을 넓혀왔다. 그러나 이 회장은 여전히 사법 리스크를 안고 있다. 해외 출장에 제약도 여전하다. 재계와 법조계 등에서는 길어지는 재판 일정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글로벌 위상 확대…승진 후 첫 출장은 언제

승진 전에도 이 회장이 삼성의 총수 역할을 해왔지만, ‘회장’ 직함을 단 뒤 글로벌 파트너사들이 느끼는 무게감이 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업을 대표하는 이 회장의 상징성이 더욱 강화 됐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글로벌 비즈니스에서 삼성의 ‘회장’과 ‘부회장’의 위상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면서 “각국 정부와 기업에서도 이 회장을 대하는 시선이 부회장 때와는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앞으로 다양한 해외 일정을 소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승진 후 첫 출장지로는 베트남이 꼽히고 있다.

이 회장은 연말에 베트남을 방문해 삼성전자 베트남 연구개발(R&D)센터를 둘러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0년 3월부터 하노이 떠이호 신도시 부근에 2억2000만 달러 투자해 올해 말 완공을 목표로 R&D센터를 짓고 있다.현재 삼성전자는 베트남에서 스마트폰 공장 2곳과 TV·가전 공장 라인은 운영 중이다.

올해 한국과 베트남의 수교 30주년인 만큼 이 회장은 베트남 정·관계 인사들과 사업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밖에 일본, 중국, 인도 등도 이 회장의 출장 예상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9월 21일 오후 영국 방문을 마치고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로 입국하면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진행형 사법 리스크…1심 최소화 필요

이 회장은 매주 1~2회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관련 1심 재판에 출석하고 있다. 이 회장은 피고인이 공판에 직접 출석해야 한다는 형사소송법 규정에 따라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직접 출석해야 한다.

담당재판부는 내년 2월 9일까지 공판 기일을 지정해둔 상태다. 1심 판결 후에도  2심과 3심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1심 재판 재판이 길어 지면서 장기간 해외 출장 등 이 회장의 경영 활동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재계와 법조계 등에서는 재판부와 검찰의 빠른 1심 진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삼성의 미래 전략 강화는 물론, 2030 부산엑스포 유치 활동 등 국가 경제를 위해 이 회장의 보폭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확산하고 있다.

최태원 SK회장 겸 대한상의 회장이 위원장을 맡은 부산엑스포 민간유치위원회의 유치위원 명단에는 5대 그룹 총수 중 유일하게 이재용 회장의 이름만 빠진 상태다. 사법 리스크 등을 고려해 명예직인 유치위원 명단의 삼성전자 몫은 공석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회장은 지난 9월 북중미 출장에서 각국 정상을 만나 부산엑스포 지지를 요청한 바 있다.

법조계 관계자는 “재판부와 검찰의 의지에 따라 재판 일정이 달라질 여지가 있다”며 “하나 하나 물고 늘어지면 끝이 없다. 가능하면 빨리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