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의 금융접근 용이·비용절감 효과 기대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은행권이 동종 또는 이종 업계와 손잡고 동일한 공간에서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공동점포나 공동자동화점을 오픈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디지털 금융의 확산으로 비대면 영업이 늘면서 영업점이 폐쇄됨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리기 위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에 위치한 '하남미사 공동자동화점'./사진=우리은행 제공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지난 6일 경기 하남시 미사지구 망월동에 금융소비자 편의 제고를 위한 공동자동화점을 개점했다. 공동자동화점은 두 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2대씩 설치해두고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 운영된다. 고객은 설치된 ATM을 통해 입출금거래, 통장정리·계좌이체, 공과금 수납 등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공동자동화점이 설치되는 하남시 망월동은 반경 1km 이내 하나은행과 우리은행 영업점이 없는 공백지역으로 두 은행의 공동자동화점 운영으로 ATM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의 금융접근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된다고 은행측은 설명했다.

공동자동화점은 두 은행이 올해 초 은행권 최초로 개점한 공동점포 이후 두 번째 은행 간 협업 사례다. 앞서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지난 4월 경기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에 '공동점포'를 열었다. 하나은행 수지신봉지점이 지난해 9월 13일 영업을 종료한 데 이어 우리은행 신봉지점도 지난해 12월 영업을 종료하면서 두 은행간 공동점포를 운영하는데 최적의 지역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공동지점을 추진하게 됐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지난 9월 경북 영주 및 경기 양주 고읍에 공동점포를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은행 영업점이 부족한 지역의 대면 접근성을 유지하고, 금융취약 계층의 금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연초부터 지역 선정과 운영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했다고 이들 은행은 설명했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은 채널 운영의 연속성과 기존 고객들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자 지점을 100m 이내에서 조정했다. 이를 위해 출장소 형태로 신한 영주지점은 KB영주지점이 이전하고, KB양주고읍지점은 신한 고읍지점이 이전했다. 고령층 등 금융소외계층의 대면 채널 상담 선호도를 반영해 기존 영업점처럼 여수신‧외환‧전자금융‧부수대행 등 모든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은행간 동종 업계뿐 아니라 이종 업종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강원도 정선군에 GS리테일과 함께 '편의점 혁신점포' 1호를 오픈한데 이어 올 4월에는 건대역입구 인근에 '슈퍼마켓 혁신점포' 2호를 열었다. 두 점포 모두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25 편의점·슈퍼마켓 내에 신한은행이 자리한 '숍인숍((Shop in Shop)' 형태로 디지털 화상상담을 통해 영업점 창구 80% 수준의 은행 업무가 가능하다.

올해 8월에는 GS리테일과 3번째 콜라보 점포인 '영대청운로점'을 오픈했다. 신한은행과 GS리테일이 지역 선정부터 디자인, 점포 구성까지 긴밀하게 협업해 만든 'MZ세대 특화' 점포다. 저녁 8시까지 화상으로 금융 상담 업무를 볼 수 있는 '디지털 데스크'와 바이오 인증 등록 시 24시간 체크카드 발급 업무 등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를 배치했다.

KB국민은행도 지난 5월 이마트 노브랜드(No Brand)와의 제휴를 통해 디지털 제휴점포 1호점인 'KB디지털뱅크 NB강남터미널점'을 오픈했다. 유동인구가 풍부한 서울 서초구 고속터미널역 역사 내에 위치해 이마트 및 지하철역·고속버스터미널 이용 고객의 급한 은행 업무 처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은행 측은 설명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