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지호 기자] 최근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홍콩H지수)를 비롯한 중국 증시가 급락세를 보이면서 이를 기초자산으로 한 주가연계증권(ELS) 원금 손실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21일 금융위원와 금융감독원은 합동 브리핑을 통해 최근 ELS 시장의 동향과 대응방안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학수 금융위 자본시장국장은 “홍콩H지수 하락으로 일부 ELS 상품에 낙인(knock-in)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나 이것이 바로 투자자 손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대부분 ELS 상품은 일단 낙인 구간에 진입하더라도 일정지수까지 회복하면 기존에 약정된 수익을 보장받는다”며 진화에 나섰다.

다음은 김 국장과의 일문일답.

-홍콩 H지수 추이 및 동 기초 ELS 발행추이는?

▲홍콩 H지수는 지난해 5월 26일 1만4801.94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중국 증시불안 등으로 크게 하락해 지난 20일 80015.44를 기록했다.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은 지난해 9월 37조1000억원에서 감소해 이달 19일 현재 37조원 수준이다.

-H지수 하락으로 인한 투자자 손실 규모는?

▲H지수 하락으로 일부 ELS 상품에 Knock-in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나 이것이 바로 투자자 손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ELS 상품은 일단 Knock-in 구간에 진입하더라도 일정 지수까지 회복하면 기존에 약정된 수익을 보장받는 구조로 설계돼 있다.

현재 발행된 H지수 기초 발행량의 96.7%가 2018년 이후 만기가 도래하므로, 그 기간 중 H지수가 회복하는 경우, 투자자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H지수의 최근 3년간 평균치는 1만858.97이며, 5년간 평균치는 1만900.43이다.

-H지수가 추가 하락하면 H지수 기초자산 ELS로 자금을 조달한 증권사도 건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증권사 평균 순자본비율(NCR)은 지난해 9월말 현재 486.7%로, 건전성 측면에서 전혀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이는 경영개선 권고 기준인 150%를 웃돈다. 중국 증시불안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지난해 6월 NCR 수준인 467.2%에 비해 오히려 소폭 개선된 모습이다.또한, 증권사는 ELS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에 대해 기초자산 변동성을 헷지하고 있어, H지수가 하락한다고 해도 증권사 건전성에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H지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은?

▲정부는, 중국 증시불안 등에 따른 홍콩 H지수 변동성 확대가 ELS 조달자금 운용 과정에서 우리 증권사 건전성 등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해 나갈 것이다. 이미 발표한 ELS 특별계정(고유재산과 구분 회계처리)을 차질 없이 추진하여 ELS로 조달한 자금운용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증권사의 헷지자산 운용이 실제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ELS 판매채널 전반에 대해서 상품의 원금손실 위험성 등이 충분히 투자자에 고지되고 있는지도 지속 점검해투자자들이 충분히 투자위험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ELS에 투자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 나갈 것이다. 특정지수에 대한 ELS 쏠림현상 등 시장 전체적인 리스크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