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주 기자] 글로벌 증시의 급락으로 미국 뉴욕증시 다우존스지수의 올해 1월 하락률이 월간 기준으로는 6년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25일 블룸버그 자료에 따르면 다우존스지수는 22일 기준으로 1월에만 1331.52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다우지수가 산출되기 시작한 1896년 이후 월간 하락폭으로는 역대 세 번째로 크다.

1월 기준 하락폭으로는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올들어 다우지수의 하락률로는 7.64%를 나타냈다. 하락률로는 역대 77번째로 2010년 5월(-7.92%) 이후 최대다.

단 올해 1월 하락률과 하락폭은 22일까지만 산정한 것이다.

하락률이 가장 높았던 때는 대공황시기였던 1931년 9월로, 하락률은 30.70%를 나타냈다. 대공황을 촉발한 1929년 10월 하락률은 20.36%였다.

다우지수는 1896년 5월 26일 40.94로 시작해 현재 1만6000포인트를 넘어선 상태다.

올해 1월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은 미국 주식시장이 그만큼 높은 수준으로 올라와 있기 때문이다. 과거 다우지수는 100도 넘지 못하다가 작년 버블 논란을 부르며 5월에는 역대 최고치인 1만8312.39(종가 기준)까지 상승했다. 그만큼 높은 수준에서 폭락하면서 상대적으로 낙폭이 컸던 셈이다.

다우지수의 하락폭이 가장 컸던 때는 금융위기로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한 직후인 2008년 10월이었다. 당시 주가 하락폭은 1525.65포인트였으며, 주가 하락률은 14.06%였다.

다우지수가 1000포인트 이상 하락한 달은 1998년 8월(1344.23포인트), 2001년 9월(1102.19포인트), 2002년 9월(1071.57포인트), 2008년 6월(1288.31포인트), 2008년 10월(1525.65포인트), 2015년 8월(1161.83포인트), 2016년 1월(1331.52포인트) 등으로 모두 7차례에 불과하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월에만 137.04포인트 떨어져 2008년 10월(197.61포인트) 이후로 최대 낙폭을 나타냈다. 이는 역대로는 세 번째 낙폭이다. S&P500지수가 가장 큰 낙폭을 보인 때는 2008년 10월로 금융위기 당시다.

올해 1월 하락률은 6.70%를 기록해 2008년 10월 하락률(16.94%)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역대로는 73번째를 기록했다. 이는 지수가 높은 수준에서 떨어져 하락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락률이 낮은 것이다.

역대 최대 하락률을 기록한 때는 1931년 9월로 당시 지수는 4.15포인트 떨어졌으나 하락률은 무려 29.94%에 달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월에만 22일 기준으로 622.62포인트(17.59%) 하락했다.

이는 지수가 만들어진 1990년 이후 역대 6번째 월간 낙폭으로 작년 7월 낙폭 613.50포인트를 웃돌았다. 1월 하락률은 역대로는 11번째로 작년 7월 하락률 14.34%를 넘어섰다.

1월 하락폭과 하락률은 모두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2009년 이후로는 최대였다.

상하이종합지수가 가장 크게 떨어진 때는 2007년 11월로 당시 낙폭은 1082.99로 하락률은 18.19%에 달했다.

하락률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던 때는 1993년 5월로 당시 하락률은 31.15%였다.

한편, 상하이증시는 작년 12월 고점 대비로는 20.13% 하락해 베어마켓(약세장)에 진입했다. 기술적 의미로 약세장은 지수가 전 고점 대비 20% 이상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지난 22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36.08포인트(1.25%) 상승한 2916.56으로 장을 마쳤다. 그러나 지수는 여전히 작년 6월 고점대비 43% 낮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