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난·환경문제·시민 경제부담 해소 한큐에 싹
[미디어펜=김태우 기자]한 대의 자동차를 시간 단위로 여러 사람이 나눠쓰는 '카셰어링'을 도입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 앱이나 회원카드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시간만큼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편의성 때문에 누구나 쉽게 이용이 가능하고 잘 정착만 된다면 각 지자체들의 주차난과 환경문제, 시민들의 경제난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한 대의 자동차를 시간 단위로 여러 사람이 나눠쓰는 '카셰어링'을 도입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어나고 있다./그린카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시·군은 카셰어링이 도심 주차난, 온실가스 감축, 대기 질 개선 등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며 카셰어링 도입에 적극적이다. 

하지만 앞서 도입을 한 곳들 중 활성화에 실패해 철수를 한 곳도 있어 무조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도 있다. 지난 2009년 국내 첫 카셰어링을 도입한 군포의 경우가 그렇다. 시민사회단체 주도로 운영하던 이곳은 이용률 저조로 사업을 접었다.

반면 활성화에 성공해 현재 활발히 운영중인 수원과 같은 경우도 있다. 

수원시는 2012년 11월 24일 KT·KT렌탈과 렌터카를 이용한 카셰어링 서비스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나서 이듬해 2월 21일 서비스를 시작했다.

서비스 초기에는 1년여간 제자리를 잡지 못했다. 무엇보다 카셰어링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이 부족하다 보니 이용자가 적을 수밖에 없었다. 홍보부족이 컸다. 2012년 2월부터 12월까지 카셰어링 전체 이용 건수는 3500여 건으로 하루 평균 11건에 불과했다.

사업 초기 15대를 운행하다 8월부터 15대를 추가 투입해 총 이용 차량이 30대로 늘었고, 회원 수도 초기 140명에서 1350명으로 급증했지만 이용실적이 부진했다. 도입 첫해 10월 452건을 최고로 매월 200∼300건 수준에 머물렀다.

초기 이용실적이 저조했던 이유는 특정 장소에서 빌린 차량을 반드시 제자리(스팟·spot)에 갖다놔야 하는 점과 홍보부족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런 이유로 수원시는 화서 환승주차장, 월드컵경기장, 영통구청 등 3곳을 왕복개념이 아닌 편도방식으로 스팟을 운영했다.

또 차량이 몰릴 것에 대비해 해당 스팟의 주차면수도 기존 2대에서 3대로 늘리고 인터넷과 모바일로 카셰어링 홍보를 강화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카셰어링 시행 4년만인 올해 5월 말 현재 운영 대수는 117대(3.9배), 가입 회원은 1만7085명(14.4배)이 늘었다.

월 이용자는 1745명, 월 이용 건수는 3506건, 월평균 가동률은 20.6%를 기록했다. 현재 시는 시청과 구청, 주민센터, 대학교, KT 지사 등 시내 75곳에 카셰어링 주차장을 운영 중이다.

수원시는 카셰어링 덕분에 대중교통이 제대로 닿지 않은 교통 소외지역 시민의 불편이 해소되고 시민 1인당 연간 340만 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수원시는 올해 말이나 내년 초까지 시내 75개 정류장을 모두 편도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많은 지자체들이 카쉐어링을 이용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중이다. 지자체들이 카쉐어링에 주목을 하는 이유는 이를 잘 활용해 정착시켰을 경우 각 지자체의 환경문제와 주차난, 대중교통문제 등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렌터카 업계 관계자는 “카쉐어링 문화가 잘 정착되면 시민들은 내차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각 지자체들은 환경문제와 지역의 주차난 문제들을 한번에 해결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전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