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립 중대 관문 이사회서 '차기 회장' 집중 논의 전망
재계인사 유력, CJ 손경식 등 하마평…참석율 '관건'
[미디어펜=김세헌기자]삼성, SK, LG 등 주요 회원사들의 잇단 탈퇴로 사실상 붕괴 위기에 몰린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정기총회의 사전 절차인 이사회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전경련을 구원할 차기 회장에 누가 선임될지 재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소재 전경련 회관 전경

16일 재계에 따르면 전경련은 오는 17일 오전 전경련 콘퍼런스센터에서 정기총회의 사전 절차인 이사회를 비공개로 개최한다. 

이사회는 회장단, 상임이사, 이사를 비롯해 회원사 110여곳이 참석 대상이다. 당초 150여곳이 대상이었으나 삼성그룹을 비롯한 회원사들의 탈퇴로 대상 기업 수가 줄었다. 총회에 안건을 상정하려면 이사회에서 사전에 의결해야 한다.

그동안 이사회는 형식적 절차의 하나로 열려왔으나, 이번은 전경련 회비 문제를 결정하는 민감한 사안이 걸려 있다. 전경련 정관에 따르면 '회비의 부과 및 징수방법은 이사회에서 정한다'고 나와 있다. 이때 한해 회비 총액과 기업별 납부금액이 사실상 정해지는 것이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전경련의 사업계획과 전년도 결산안, 올해 예산안이 공식 안건으로 올라갈 예정이다.

삼성, 현대차, SK, LG등 4대 그룹은 이미 전경련 탈퇴를 완료했거나 올해부터 전경련 회비 납부를 중단한다고 공개 선언했기 때문에 올해 예산 규모와 사업계획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전경련의 이번 정기총회의 가장 큰 목적은 차기 회장 선출이다. 전경련은 총회에서 차기 회장을 추대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 하루이틀 전까지는 새 사령탑이 내정돼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경련은 10대 그룹 총수 중에 전경련 회장을 맡겠다는 사람이 없자 한덕수 전 총리,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등 고위 경제관료 출신의 외부인사 영입까지 타진했으나 성과가 없었다.

현재 차기 회장을 정하는 문제는 허창수 회장이 직접 발로 뛰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전경련 내부에서는 차기 회장이 거의 정해졌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온다.

재계 안팎에서는 최근 CJ그룹 회장이자 준 오너로 통하는 손경식 회장이 적임자라는 의견이 급부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경식 회장은 고 이병철 삼성 회장의 장남인 이맹희 씨의 처남이자, 이재현 CJ 회장의 외삼촌으로 오너 일가 중 한 명이다.

손 회장은 특히 지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장기간 대한상공회의소의 회장직을 역임한 바 있어 경제단체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전경련의 대대적인 개혁 작업을 주도할 적임자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 손경식 CJ그룹 회장

아울러 손 회장과 함께 이웅렬 코로롱 회장, 삼양홀딩스 김윤 회장, 풍산 류진 회장, 이건산업 박영주 회장 등이 유력한 차기 회장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들 모두 그간 전경련 회장단의 일원으로서 각종 활동에 적극 참여해온 만큼 전경련에 대한 이해가 높아 개혁 작업을 이끌기에 적합하다는 이유에서다. 

재계는 전경련에 놓인 과제 가운데 가장 중요한 현안은 허창수 회장을 이을 새 사령탑을 찾는 것이지만, 차기 회장이 정해지는 것만으로 전경련의 위기가 가라앉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경련이 걷는 한해 회비 중 절반을 책임지던 4대 그룹이 회비 납부 중단을 선언하면서 조직 유지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그간 전경련이 600개 회원사로부터 받는 회비 500억원 가운데 절반인 250억 정도를 4대 그룹이 부담해왔다.

일단 전경련은 차기 회장이 선출되면 혁신위원회 등을 가동해 신속하게 쇄신 작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미국의 200대 대기업 최고경영자들로 구성된 협의체로 미국 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이 쇄신 모델로 유력하게 거론돼왔다. 

지난해 12월 대형 회계법인에 의뢰한 쇄신안 용역은 결과가 나왔으나, 하나의 선택지로 새 회장에게 보고될 뿐 얼마나 반영될 지는 전적으로 회장이 결정할 몫인 것으로 전해진다. 

전경련은 차기 회장을 선출한 뒤 전권을 주고 전경련 쇄신 작업을 추진한다는 내부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전경련의 쇄신안 발표는 이달을 넘길 가능성이 크다는 게 재계의 대체적인 견해다. 

한편 이사회 한주 뒤인 오는 24일께 열리는 정기총회는 그야말로 전경련 존폐가 결정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정기총회의 참석 대상은 회원사 600여곳으로 과반 참석에 과반 찬성이 안건 의결 요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