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친환경유통센터 올 들어 이용률 '제로'...수사 중 개선책 논의 논란
   
▲ 송재형 서울시의회 의원(새누리당, 강동구 제2선거구)

서울시 교육청이 다시금 친환경급식을 재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쟁점이 되고 있다. 친환경급식은 곽노현 전 교육감과 1기 박원순 시장 주변 인사들이 특정업체와의 수의계약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은 바 있다. 구매가격도 친환경이란 명분으로 50%이상 비싸게 책정돼 서울시교육재정에 큰 부담을 초래했다.

이를 계기로 특정업체와의 수의계약은 대부분 사라졌다. 문제는 지난 6.4지방선거에서 좌파교육감 조희연이 당선되고, 박원순 시장도 2기를 맞으면서 서울시교육청의 친환경급식사업이 다시금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움직임은 서울시교육청이 최근 시의회에 보고한 자료에서 ‘서울친환경유통센터 이용 확대’를 시급히 추진해야 할 주요교육시책의 하나라고 밝힌 데에서 잘 드러난다. 서울친환경유통센터(이하 센터)는 서울시가 322억 원을 투자하여 시행한 사업이지만 2014년 들어 이용하는 학교가 제로(0)가 됨으로써 투자예측에 실패한 대표적인 골칫거리 사업이다.

   
▲ 6.4 지방선거 당시 시장 후보로 막판 유세를 벌이던 박원순 서울시장. 서울시 직속의 서울친환경유통센터로 인하여 불거진 관(官)피아 2300억 원 게이트가 현재 검찰 수사 중에 있다. 

송재형 서울시의회의원은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서울친환경유통센터(이하 센터)가 수수료 수입이 급감하면서 심각한 운영난에 처해 있다”며 서울시 예산 322억 원을 들여 지은 소분시설 3개동이 아무런 활용방안 없이 방치된 상태에 대해 19일 시정 질의를 통해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송 의원은 “지난 5월 감사원의 주의 조치를 받은 서울시장이 넉달이 지나도록 센터 운영에 대해 아무런 대책도 시민들 앞에 밝힌 바 없다”고 밝히며 “그럼에도 최근 들어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과의 업무협약만을 강조하며 과거방식으로 돌아가려는 것은 매우 무책임하다”고 지적했다.

   
▲ 서울친환경유통센터 수수료 수입금액 비교표 

송 의원은 감사원 감사결과 발표 후 시작된 센터의 비리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하여 “이미 전 센터장과 거래업체 대표를 비롯하여 4명이 비리혐의로 서부지검에서 구속기소되었고, 최근에도 다시 한 명이 구속되는 등 센터의 제반 문제에 대한 내막이 아직도 검찰 수사를 통해 속속 밝혀지고 있는 단계이다”라고 언급했다.

송 의원은 이어 “이러한 이유로 인해 센터의 개선대책을 논의하더라도 검찰 수사가 마무리된 이후에나 가능하며, 최근 센터 이용을 확대하겠다는 서울시와 교육청의 신중치 못한 업무추진에 대해 철저히 따지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김규태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