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 사이에서도 불안감 증폭 "기숙사 생활 같이 하라는 건가"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코로나19 확산 우려로 개강을 앞둔 대학들이 중국 유학생 수용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자가격리 비용만 대학별로 수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비용 부담 주체도 정하지 못한 데다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15일 경기도 내 복수의 대학 관계자들에 따르면 각 대학은 교육부 권고에 따라 2~4주간 개강을 연기하고 중국 방문 학생과 교직원들에 대해 2주간 자율격리를 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나아가 대부분 기숙사 일부 또는 전체를 비워 격리시설로 활용하고, 교외 거주 학생들은 원격으로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방안도 검토 중에 있다.

   
▲ 서울의 한 대학 기숙사 전경(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사진=미디어펜

그러나 큰 틀에서의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세부적인 격리 비용 등을 따져보면 셈법이 복잡해져 각 대학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통제를 위해 주거비와 식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보는 게 맞다면서도 "이럴 경우 유학생 500명을 격리한다고 치면 많게는 3~4억 원이 들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3일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성균관대 현장 시찰 후 관계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자율격리 유학생을 관리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과 물품은 정부가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세부적인 공지를 아직 전해받지 못한 각 대학들은 정부 지원 폭을 아직 알 길이 없어 구체적인 격리 방법에 대한 논의를 미루고 교육부 눈치만 살피고 있는 형국이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 유학생에 대한 집중적인 정부 지원 및 대학별 비용 부담 주체도 논란거리다. 한 대학 관계자는 "등록금으로 비용을 충당하는 방안도 논의했지만 그럴 경우 교비 집행이 유학생들에게만 편중돼 일반 학생과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일부 학교는 격리 당사자인 유학생들에게 식비 등 일부 비용을 받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는 전언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일반 중국인 입국자처럼 유학생들도 공항을 통과하며 검역을 거쳐 입국하기 때문에 학교가 이들을 강제로 격리할 권한은 없다"며 "유학생들의 동의를 받고 격리에 동참해달라고 하는 입장이어서 비용을 청구할 명분이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숙사 운영과 개강 연기 등의 조치와 관련해 한국 학생들 사이에서는 불안감이 증폭하고 있으며 자율권과 학습권 침해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학생들은 SNS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 받지 않았으면 좋겠다. 제2의 우한 만들지 말자"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또 "기숙사 신청하려고 하는데 유학생들 기숙사에 격리시키면 저는 그곳에서 생활하는 건지 모르겠다", "기숙사에 다 몰아넣는다고 하는데 그럼 기숙사생들은 어디서 생활하나. 설마 같이 쓰라는건지 모르겠다" 등 불안감을 내보이고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