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특수성 반영, 민간기업에도 개방해야...“기술서비스 플랫폼 필요”
   
▲ 전남 고흥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흔히들 '스마트농업'이라고 하면, 시설농업을 떠올린다. 온도나 습도 등 내부 환경관리에 용이하기 때문.

그러나 스마트농업은 노지 농업이 더 중요하다. 

스마트농업은 모든 농작업을 데이터에 기반해 수행하는 농업을 의미한다. 자율주행 트랙터, 센서, 드론, 스마트기기 등은 스마트농업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기술이지만, 그 자체만으로는 스마트농업이라 할 수 없다.

하지만 이제까지 우리나라 스마트농업은 주로 요소 기술의 구현에만 중점을 두고, 스마트 관수.장비, 드론, 원격탐사, 농업 기상, 토양관리시스템 등 개별 기술의 개발과 실증 중심으로 추진돼 왔다.

'스마트농업=시설농업'이라는 오해도 그에서 비롯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올해부터 들녘 단위의 스마트농업 시범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일본의 경우, 민간기업들이 데이터에 기반한 스마트농업 기술을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난 2018년부터 수도작, 밭농사, 시설원예 분야별로 모두 69개의 실증사업을 추진중이다.

일본이 민간기업의 비즈니스를 촉진하는 방식인 반면, 우리나라는 정부 중심의 공공모델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 중심 모델에서는 기술서비스를 담당할 주체가 만들어지기 어렵고, '규모의 경제'도 실현하기 힘들어, 정부의 지원이 끝나면 지속가능성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한국의 노지 스마트농업은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추진되고, 지자체별로 별도의 관제시스템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이런 '분절화된 시스템'은 효과적으로 작동되기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 대표는 "국가 단위의 스마트농업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되, 지역별로는 측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하부 시스템을 설치, 데이터의 통합성을 유지토록 해야 한다"면서 "민간기업에도 데이터 플랫폼을 개방하는 대신 비용을 부과, 농업인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남 대표는 "노지 스마트농업의 규모화는 들녘 단위의 조직화보다는, 기술서비스 플랫폼 모델을 통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이런 접근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지역에서 기술서비스를 담당할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지금까지 한국의 스마트농업은 요소 기술의 개발과 실증사업 중심으로 추진됐으나, 이런 접근방법은 농가의 규모가 작고 기술수용성이 낮은 현실에서는 실제 사업화로 이어지지 못해, 연구개발 투자가 농업 현장에서 성과로 이어지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정환 GS&J인스티튜트(민간 농업전문 연구기관) 이사장은 "힘이나 경험, 숙련도보다 기계 장비와 데이터에 의존하는 스마트농업이 농촌 인력 공백의 대안이 되고, 스마트농업 경영자와 농업기술 서비스를 담당하는 인재가 기존 농업인과 더불어, 생산성이 높고 친환경적인 농업으로의 혁신을 이루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