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 감소·사망 증가 역대 최대…10개월 연속 자연감소
   
▲ 산부인과 신생아실 [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지난 8월 중 출생보다 사망이 더 많은 인구 자연 감소가 2800명으로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고, 올해 들어 자연감소한 인구만 1만3000명에 달했다.

28일 통계청의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8월 출생아 수는 2만 2472명으로 1년 전보다 1899명(-7.8%) 줄었다. 

이는 8월 기준으로 지난 1981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저치이며, 같은 달 기준 역대 최저 기록을 53개월째 갈아치운 것이다.

1∼8월 출생아 수는 18만 8202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9.5% 감소했고, 인구 1000명당 연간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5.2명으로, 8월 기준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0년 후 최소치다.

반면 8월 사망자 수는 2만 5284명으로 1년 전보다 1577명(6.7%) 늘어, 1983년 통계 작성 이래 8월 기준 가장 많은 수이며, 증가폭도 1994년(7.2%) 이래 최대다.

1∼8월 사이 사망자 수는 20만 1648명으로 1년 전보다 4.0% 늘었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사망자 수가 많이 증가한 것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의 직접적인 영향 때문인지는, 현재 통계상으로 알 수 없다"면서도 "8월 중순 이후 사망자 수가 늘어난 것은 맞다"고 말했다.

8월 중순 이후 폭염, 열대야가 이어지고 고령인구가 증가한 점이 복합적인 원인이 됐다고, 그는분석했다.

출생아 수는 줄고 사망자 수는 늘면서, 인구 자연 증가분(출생-사망)은 작년 11월부터 10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8월 인구 자연감소는 2812명에 달해, 지난해 12월(-5494명) 이후 최대치다.

1∼8월 줄어든 인구는 1만 3446명에 달해, 이대로 연말까지 간다면 올해 연간으로 사상 첫 인구 자연감소는 거의 확실시된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