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량, 1.9% 증가한 93만2천t…2년 연속 100만t 미만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금액이 총 4조 3655억원으로 전년(3조 9571억원)보다 10.3%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주요 어종별 생산금액은 오징어가 5017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는데, 전년보다 30.5% 증가했다.

이어 갈치(4660억원), 멸치(3379억원), 참조기(2898억원), 꽃게(2682억원), 고등어(1636억원) 등의 순으로 생산금액이 컸다.

 생산금액은 생산량과 단가의 영향을 주로 받는데, 오징어의 경우 지난해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했지만 단가가 올라서 생산금액 기준으로는 주요 어종 중에서 가장 많이 늘었다.

   
▲ 채낚기어선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지난해 생산량 규모는 멸치(21만 6748t)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고등어(7만 7396t), 갈치(6만 5719t), 오징어(5만 6546t), 전갱이류(4만 5537t), 참조기(4만 139t)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전년과 비교한 생산량 증가율은 참조기가 59.4%를 기록해 가장 상위를 차지했고, 이어 갈치(51.2%)와 멸치(26.3%), 꽃게(25.3%), 가자미류(20.6%) 등 순이었다.

참조기는 주요 서식처인 서해 저층의 냉수가 서해 남부와 제주 북서부 해역으로 확장하면서 밀도가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이 컸고, 갈치는 온난한 동중국해의 영향을 받아 서식 영역이 넓어졌으며, 주요 먹이인 멸치의 분포밀도가 높아져 생산량이 크게 늘었다.

반면 고등어는 주요 어기인 11∼12월 풍랑과 한파 등으로 제주 주변 해역에서 어장이 잘 형성되지 않아, 생산이 23.5% 감소했다.

아귀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소비가 위축돼, 생산이 27.1% 줄었다.

오징어, 전갱이류, 붉은대게, 삼치류, 청어 등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근해어업 전체 생산량은 전년(91만 5000t)보다 1.9% 증가한 93만 2000t에 그쳐, 지난 2019년(91만 5000)에 이어 2년 연속 100만t 미만을 기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