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시중은행들이 정부가 추진중인 '대환대출 플랫폼(대출 갈아타기)'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적인 플랫폼을 만들 예정이다. 시중은행이 빅테크가 주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할 경우 빅테크에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 사진=금융위 제공.


3일 은행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는 최근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독자 플랫폼 참여 의견을 물은 결과 다수의 은행이 이를 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결제원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은 금융소비자가 기존 대출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신규 대출을 갈아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취지로 10월 오픈을 앞두고 있다.

금융위는 올해 업무계획 발표를 통해 은행을 방문할 필요 없이 모바일 앱에서 모든 금융기관의 대출상품 금리를 비교한 후 가장 유리한 조건의 대출상품으로 선택해 갈아탈 수 있는 '원스톱·비대면 대환대출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결제원이 해당 인프라를 만들고 토스 등 핀테크 금리비교 플랫폼을 연결해 대환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다.

하지만 은행권에선 정부가 추진중인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에 난색을 표해왔다. 빅테크 플랫폼에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 부담이 큰 반면 대출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금융사 입장에선 얻을 수 있는 실익이 크지 않고 오히려 빅테크에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서다. 

은행권 독자 대환대출 플랫폼은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만든 앱에서 은행의 대환대출 상품 금리와 한도를 비교해 조건이 나은 대출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개별 은행이 공공 플랫폼 뿐 아니라 빅테크가 준비 중인 대환대출 플랫폼에도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