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 64.1%, 2022년 주택 매입 계획 있어
청약 희망 수요↑, 기존 아파트 매입 수요↓
[미디어펜=유진의 기자]국민 중 10명 중 6명은 내년 주택 매입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택 매입 계획 유무./자료=직방


15일 직방이 자사 앱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2042명 중 64.1%(1309명)가 2022년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조사를 시작한 2020년 이후 매입 계획 응답 비율이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절반 이상이 매입 의사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 응답비율은 71.2%, 2021년에는 69.1%다.

직방은 "최근까지 이어진 주택가격 상승세 둔화 등, 향후 가격이 조정되지 않을까 하는 관망 움직임이 커지면서 주택을 매입하려는 움직임도 예년에 비해 다소 주춤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2022년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거주지역별로 △지방(69.8%) △경기(66.5%) △지방5대광역시(62.8%) △인천(62.1%) △서울(57.2%) 순으로 높았다. 

2022년 주택 매입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 1309명 중, 매입 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기존 아파트(37.7%)’를 매입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신규 아파트 청약(32.7%) △연립· 빌라(10.2%) △아파트 분양권·입주권(8.9%) △단독주택(5.4%) △오피스텔 청약·매입(3.6%) 순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기존 아파트를 매입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매년 응답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 반면 신규 아파트 청약을 계획하는 응답 비율은 △2020년 24.9% △2021년 29.1% △2022년 32.7%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존 아파트 가격 상승 부담과 맞물려 올해 시작된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등으로 분양시장에 관심이 커지면서, 주택 매입 수단으로 아파트 청약에 관심이 꾸준히 증가한 것이 요인이라고 직방은 분석했다. 

또한 미미하지만 2021년보다 2022년에는 연립, 빌라(8.4%→10.2%)와 단독주택(4.3%→5.4%)을 매입하거나 오피스텔을 청약, 매입(1.3%→3.6%)하겠다는 응답 비율도 늘어났다.  

2022년 주택 매입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계획하는 주택 비용은 ‘3억이하’가 38.3%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3억초과~5억이하(33.8%) △5억초과~7억이하(15.4%) △7억초과~9억이하(6.0%) △9억초과~11억이하(2.3%) △15억초과(2.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 ‘3억초과~5억이하’ 구간을 선택했던 응답자 비율이 가장 많았던 것과 달리 ‘3억이하’를 선택한 응답자 비율이 소폭 증가했다. 아파트 가격이 많이 올라서 기존 아파트 선택 비율이 낮아진 것과 마찬가지로, 저가 매물이나 아파트 외 다른 상품군 등으로 관심을 돌리는 수요 움직임이 많아지면서 매입 비용도 낮아진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계획 중인 주택 매입시기는 ‘1분기’가 38.0%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2분기(17.3%) △미정(16.7%) △4분기(14.9%) △3분기(13.0%) 순으로 응답했다. 2022년 주택을 매입하려는 이유로는 ‘전, 월세에서 자가로 내 집 마련’이 39.1%로 가장 많았다. 이어 △거주지역 이동(18.4%) △면적 확대, 축소 이동(15.7%) △본인 외 가족 거주(12.8%) △시세 차익 등 투자목적(9.7%)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특히 20~30대에서 전, 월세에서 자가로 내 집을 마련하겠다는 이유가 다른 연령대(20~30%대)에 비해 응답률이 50%대로 높게 나타났다. 

2022년 주택 매도 계획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58.6%(1196명)이 ‘없다’로 응답했다. 매도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 중, 46%는 현재 1가구 1주택이거나 주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였다. 

매도 계획이 ‘있다’로 응답한 응답자는 846명(41.4%)으로 연령별로는 60대이상(59.7%)이 가장 많았고 40~50대도 40% 이상이 매도 의사를 밝혔다. 

설문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2022년에는 주택 매입 계획 수요가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직방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과 DSR 등 규제 강화가 내년에도 이어질 예정으로 매수 관망 속에서 내 집 마련, 거주지나 면적 이동 목적의 실수요자 위주로 움직임이 나타날 전망"이라며 "다만 비아파트로의 수요 분산과 중저가 선호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진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