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3.9% 예상…소비·투자·수출 증가폭 둔화될 듯"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8%에서, 2.6%로 하향 조정했다.

연구원은 17일 발표한 '2022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보고서에서, 이렇게 밝혔다.

우리 경제가 작년 동기 대비 금년 상반기에는 2.7%, 하반기에는 2.5% 성장해 연간 2.6%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또 "올해 한국 경제는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지만, 작년보다 성장률이 둔화될 것"이라며 "경기 흐름은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개선세가 약화되는 '상고하저'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 수출 컨테이너선박/사진=HMM 제공


대외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미국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 전환, 고물가 등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고, 국내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수칙 완화에 따른 대면 서비스 소비 정상화 등이 예상된다.

그러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으로 인한 실질임금 상승 제한, 시장금리 오름세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 등으로, 민간소비 증가율은 소폭 둔화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이 3.4%로, 지난해(3.6%)보다 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이후 공급망 차질 등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설비투자 증가 폭도 둔화할 것으로 보고, 금년 설비투자 증가율 전망치가 작년(8.3%)보다 대폭 감소한 1.8%에 그칠 것으로 관측했다.

연구원은 작년 -1.5%를 기록한 건설투자 증가율 전망치를 올해는 2.8%로 제시했는데,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및 지역균형발전 투자와 공공주택 공급 계획 등에 따라, 건설투자가 증가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작년 수출이 25.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해 역대 최고치를 달성한 기저효과로, 올해 수출 증가세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2022년 수출 증가율 전망치는 9.1%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연내 해외여행 정상화 가능성에 따른 여행수지 적자 확대 등으로, 지난해(883억 달러)보다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는 상반기 253억 달러, 하반기 337억 달러, 연간으로는 59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물가는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국내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는 점은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으로,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는 공급 측 물가상승 압력으로 각각 작용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올해 연간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3.9%로 제시, 작년 2.5%보다 대폭 올려 잡았다.

코로나19 방역수칙 완화에 따라 경제활동이 정상화되면서, 실업률은 작년(3.7%)보다 하락한 3.5%일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대외 리스크가 국내 외환·금융 시장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사전 대응이 중요하다"며 "체계적인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전환 로드맵을 제시해, 국내 실물경기 회복세를 견인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