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산 전인 2019년 하반기보다 22.6% 늘어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음식 배달·택배 배송 등에 종사하는 배달원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보다 20% 이상 늘었다.

통계청이 19일 내놓은 '2021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 취업자의 산업 및 지역별 특성'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배달원 수는 42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9.7%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1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치다.

배달원 수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급증했는데, '사회적 거리두기'로 배달음식 주문과 온라인 쇼핑이 더 활발해졌기 때문이다.

10월 기준 배달원 수는 2019년 34만 9000명에서 2020년 39만명으로 11.8% 증가했고 2021년에도 9.7% 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갔다.

   
▲ 배달기사가 CU 점포에서 배달용 물품을 수령하고 있다./사진=BGF리테일 제공


2019년 10월 배달원 수(34만 9000명)의 전년 대비 증가 폭이 0.7%에 그쳤으나, 지난해 10월 배달원 수(42만 8000명)는 2년 전과 비교하면 22.6%나 늘었다.

돌봄 및 보건 서비스 종사자도 62만 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2.0% 늘었고, 사회복지 종사자는 48만 2000명으로 7.8% 증가했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인구 고령화에 따라 요양보호사, 간병인 수요가 늘고 있는 데다 코로나19 상황으로 돌봄 서비스 종사자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요식업 조리사가 103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8.0% 늘어난 반면, 식음료 서비스 종사자는 51만 6000명으로 6.8% 감소했다.

김 과장은 "음식·숙박업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증감을 반복하고 있는데, 작년 10월에는 업황이 개선세였다"며 "종사자 감소는 셀프서비스나 키오스크, 무인 가게 확대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산업 소분류별(232개) 취업자 규모를 보면, 15∼29세는 음식점업(34만 7000명)이 가장 많았고 이어 병원(19만 8000명), 주점 및 비알코올 음료업점(19만 3000명) 순이었다.

30∼49세는 음식점업(48만 9000명),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36만 2000명), 병원(29만 1000명) 순으로 늘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