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새 정부 우선 정책과제' 여론조사...국민 23.3%, 단기 우선 과제 '부동산 정상화'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30대 이상의 국민들은 윤석열 새 정부가 추구해야 할 최우선 국정 목표로 '경제성장'을 가장 많이 꼽았지만. 20대에선 '복지 확대'를 꼽는 이들이 더 다수였다.

또 국민 23% 이상이 새 정부가 단기적으로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 방향으,로 '부동산 정상화'를 지목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일 서울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국가미래전략 콘퍼런스에서, 이런 내용의 자체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KDI는 지난달 17∼21일 일반 국민 1000명과 경제전문가 518명(교수·연구원·기업인·금융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진행했는데,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 한국개발연구원(KDI) 건물/사진=KDI 제공


일반 국민 응답자는 새 정부 최우선 국정 목표로, '경제성장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29.2%)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복지 확대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균형 발전 및 사회적 통합 강화'(각각 22.0%), '공정한 경쟁과 기회의 보장'(16.1%), '깨끗하고 안전한 사회 구현(8.6%),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 확대(2.1%)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 이상의 모든 연령층이 '경제성장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를 국정 최고 목표로 지목한 반면, 20대는 복지 확대(29.5%)와 공정 경쟁(23.8%)을 선택한 비중이 경제성장(23.8%)보다 높거나 같았다.

경제전문가 그룹에서는 최우선 국정 목표로, '경제성장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를 꼽은 이들이 46.9%에 달했다.

그 다음으로 균형발전 및 사회적 통합 강화(32.2%), 공정한 경쟁과 기회의 보장(13.9%), 복지 확대로 국민의 삶의 질 확대(4.6%), 깨끗하고 안전한 사회 구현(1.5%),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 확대(0.8%) 순으로 많았다.

일반 국민은 새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부문으로, 경제성장과 분배(45.0%), 노동·일자리(25.0%) 등을 꼽았다.

경제전문가에서도 경제성장과 분배(57.1%), 노동·일자리(18.0%)를 많이 지목했다.

아울러 일반 국민은 단기적으로 역점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부동산 정상화(23.3%)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경제활력 제고(13.0%), 양질의 일자리 창출(12.9%) 순으로 많았다.

경제전문가는 경제활력 제고(24.3%)가 최대였고 부동산 정상화(20.7%), 양질의 일자리 창출(13.4%)이 뒤를 이었다. 

공정사회 기반 마련을 위해서는 공정한 채용 기회 보장 및 채용 비리 근절, 납품단가 제도 개선 및 제 값 받는 환경 조성을 꼽았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