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터에서 개최
한종희 부회장, '캄 테크'철학과 '스마트싱스' 강조
[미디어펜=조우현 기자]삼성전자가 3년 만에 개발자들의 축제를 개최해 미래 기술에 대해 논의했다. 올해 행사는 2019년 이후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됐으며 온라인으로도 생중계 됐다. 지난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만 행사가 진행됐다.

삼성전자는 1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터에서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DC) 2022'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기조연설하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SDC는 지난 2013년 처음으로 개최된 개발자들의 축제로, 매년 전 세계 개발자·디자이너·콘텐츠 제작자·업계 관계자 등이 참가해 미래 기술에 대해 논의하고 교류하는 장이다. 

삼성전자는 이날 콘퍼런스에서 다양한 기기의 직관적이고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사람들이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각종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캄 테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 부회장은 기조연설에서 "전 세계의 창의적인 개발자들과 협력해 수많은 기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캄 테크' 시대에 성큼 다가가게 되어 큰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전자의 혁신 기술과 솔루션을 통해 세상이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고 고객의 삶이 더욱 편리하고 스마트해 질 수 있도록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기조 연설에선 △사용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공통 플랫폼과 혁신 서비스 △스마트 TV‧가전, 갤럭시 스마트폰을 통한 제품 경험 확대 △미래를 위한 연구개발(R&D)과 오픈 협력 방안 등이 전 세계 개발자들에게 소개됐다.

진화된 스마트싱스 플랫폼 통해 유기적인 통합 연결 경험 강화

삼성전자는 다양한 기기가 보다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상황과 의도에 맞게 맞춤화된 경험을 확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싱스', '빅스비', 삼성 녹스' 등 다양한 혁신 기술과 플랫폼 강화 방안을 소개했다.

우선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를 통해 삼성의 제품과 서비스는 물론 300여개 브랜드의 다양한 기기까지 모두 연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보다 통합된 경험이 소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며 개발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지난 9월 베를린에서 개최된 IFA에서 본격적인 스마트싱스 대중화 원년을 선언한데 이어, 이번 SDC에서는 다양한 홈 시나리오와 30여개 파트너사의 전시를 통한 스마트싱스 에코시스템을 소개해 개발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 전시부스 현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더 나은 '보는 경험'을 위한 맞춤 서비스 제공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보다 개인화된 '보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선도업체들과 협업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전 세계 24개국 4억6000만대의 기기에 제공되고 있는 채널형 무료 비디오 서비스 '삼성 TV 플러스'는 콘텐츠를 확대하고 편의성을 한 단계 진화시켰다.

뉴스 콘텐츠를 확대할 뿐 아니라 '라이언스게이트', '바이스 미디어'와 새로운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국내에서는 지난 연말 MBC와 SBS 지상파 채널, 올해 8월에는 MBC 플러스 채널이 추가되는 등 채널 파트너사가 지속 추가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삼성 TV 플러스의 다양한 콘텐츠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지난 8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했으며, 개발자들이 더욱 간편하게 삼성 TV 플러스를 통해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갤럭시 모바일 기기의 최신 UX 'One UI 5' 공개

삼성전자는 사용자 개인에 최적화된 모바일 경험을 위해 맞춤 설정 기능을 강화하고 생산성과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을 업그레이드 한 'One UI 5'를 새롭게 공개했다.

One UI 5는 '모드 및 루틴' 메뉴를 새롭게 추가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인의 생활 패턴에 더욱 향상된 맞춤 설정 기능이 가능하다. 

잠금 화면의 설정 기능도 향상됐다. 비디오를 월페이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잠금 화면에서 손쉽게 시계 및 알람 스타일까지 변경 가능하다. 

또 '다이나믹 잠금 화면' 기능을 활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갤러리에서 자유롭게 선택해 본인의 개성에 맞는 잠금 화면을 꾸밀 수 있다.

삼성전자는 '텍스트로 전화 받기' 기능도 선보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있을 경우 발신자의 목소리가 수신자에게 문자로 변환돼 전송되며, 이를 보고 사용자가 문자로 답할 경우 빅스비가 대신해 상대방에게 목소리로 전달하는 기능이다.

전 세계 개발자들과 함께하는 미래를 위한 투자와 연구

삼성전자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노력하기 위한 미래 투자‧연구 로드맵을 개발자들에게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학계, 연구원, 개발자들이 로봇 조작에 있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테스트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로봇 팔'을 조작할 수 있는 코드를 깃허브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헬스 분야에서 갤럭시 워치5와 연계해 다양한 사용자 사례를 찾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심장 건강, 폐 건강, 스트레스, 혈압, 신경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계‧의료 기관과 협력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오픈 소스 솔루션 '삼성 헬스 스택'을 공개해 학계와 의료기관에서 이를 활용해 건강 분야에 대한 연구를 보다 활성화 하고 개발을 촉진시킬 예정이다.

한편, 이번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