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기관과 기반시설 피해 상황 점검
[미디어펜=이다빈 기자]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대통령 지시사항인 주요 사회기반시설 피해상황 파악 및 조치사항 점검을 위해 지난 29일 차장 주재로 관계기관과 주요시설에 대한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고 30일 밝혔다.

현재까지 신고된 피해 상황은 지붕파손, 벽체균열 등 시설피해 12건(주택 11, 석축1), 유감신고 93건, 단순문의 75건, 낙석 신고 1건 등이다.

국토부는 지진재해상황실을 가동해 공항, 철도, 도로, 건설현장 등을 점검한 결과 피해는 없으며 향후 세부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진앙지 반경 50㎞ 이내 시설물(38개소) 점검결과 피해 상황 없음을 확인했다. 또 추가적인 여진에 대비해 재난상황 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괴산·증평지역 내 학교시설을 점검한 결과 피해가 없다고 확인했다. 산업부는 원전, 가스, 전력, 송유관 등 시설 점검결과 피해가 없었으며, 전력은 정상 수준으로 공급 중이라고 전했다.

원안위는 인근 원자력 시설인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약 69㎞)와 ‘한울’ 원전(약 135㎞) 현장점검 결과 피해 없다고 밝혔다. 또 국내 가동원전(25기) 및 방폐장, 연구로 특이사항 없음을 확인했고 운전상황을 지속 감시 중이다.

방통위는 주요 방송시설에 대한 피해여부를 파악하고, 66개 재난방송 의무사업자에 지진피해 대비 국민행동요령 방송 적극 협조 요청했다.

농식품부는 농업기반시설(2903개소) 긴급점검 결과 피해는 없다고 확인했고 여진 발생에 대비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대응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충북도는 지대본을 가동해 비상대응체계 유지 중이다. 도내 저수지(749개소) 등 긴급 안전 점검을 실시한 결과 피해가 없다고 설명했다.

김성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은 “여진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 중대본 1단계를 유지하는 한편, 이번 지진으로 국민 생활에 불편하지 않도록 관계부처 및 지자체와 함께 주요 시설물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다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