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 "모두 각각의 역할이 요구되고 공동의 노력이 필요한 범국가적 과제"라며 "글로벌 환경 규제가 빠르게 도입되는 현실을 고려할 때 패러다임 변화를 더이상 미룰 수 없다"고 밝혔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한국은행과 대통령 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공동 개최한 '제1회 녹색금융 국제콘퍼런스'에서 환영사를 전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제공.


이 총재는 이날 한국은행과 대통령 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공동 개최한 '제1회 녹색금융 국제콘퍼런스'에서 환영사를 통해 "앞으로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시장조성 방안과 함께 중소기업 전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수단을 금융당국과 함께 모색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기후변화 위기는 우리에게 새로운 성장과 발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기후 테크 투자자금이 2021년 450억달러로 2년 사이에 3배 성장했고, 환경·에너지·농식품·지리관측 등 분야에서는 혁신적인 기술이 놀라운 속도로 상용화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한은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시작이긴 하지만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앞으로는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시장조성 방안과 함께 중소기업의 전환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수단을 금융당국과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중소기업들이 친환경으로의 공정전환을 순조롭게 이루지 못 할 경우 수출 공급망으로 연결된 대기업들도 글로벌 환경 관련 규제를 피하기 어렵다"며 "중소기업에 대한 녹색금융지원은 중요한 정책과제"라고 밝혔다.

그는 "이들 중소기업들은 신용등급이 낮아 스스로 녹색채권 발행을 통해 녹색금융의 혜택을 받기는 어렵다"면서 "중소기업에 대한 은행 대출을 모아 증권화하고 이 과정에서 녹색금융의 국제적 기준에 맞는 채권을 발행함으로써 이들 중소기업이 녹색금융 혜택을 간접적으로 받는 방식을 다각적으로 모색해 봐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