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부, 2017년까지 200개 기업 줄여
[미디어펜=고이란 기자] 중국 정부가 철강 산업 재편에 나선 가운데 국내 철강업계도 근본적인 체질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기업 구조조정을 위해 약 1000억위안(18조9000억원)의 기금을 설치했다. 정부가 본격적으로 좀비기업 정리에 나선 것이다.

   
▲ 철강업계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사진왼쪽부터) 권오준 철강협회(포스코) 회장, 우유철 현대제철 부회장,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 이순형 세아제강 회장, 김창수 동부제철 사장, 홍영철 고려제강 회장, 손봉락 TCC동양 회장. /사진=미디어펜 DB


중국 정부는 지난해 3월 철강 산업 조정정책과 철강 공업발전전환 행동계획 등을 발표하면서 오는 2017년까지 철강회사를 기존 500개에서 300개로 축소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아울러 2025년까지 조강생산 상위 10개사의 산업집중도를 높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3~5개의 철강사로 재편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그동안 세계적인 공급과잉을 이끌며 질타를 받아온 중국 철강업계는 비난의 목소리에도 구조조정에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해 철강수요가 5%이상 줄고 철강가격도 무려 30%이상 하락하면서 중국정부도 경제성장의 장애 요인으로 인식하며 적극적으로 구조조정에 개입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지난해 중국강철공업협회(CISA) 101개 회원사 가운데 절반이 적자를 기록하는 등 내수부진도 날로 깊어졌다.

국내 철강업계도 중국의 물량 공세와 세계적 공급 과잉 앞에 구조개혁이 가장 큰 숙제로 떠오른 지 오래다. 각국에서는 자국의 철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규제를 늘리고 환율 탓에 수출마저도 어려운 실정이다. 건설부문이 잠시 반등했지만 국내 수요산업도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신현곤 포스코경영연구원 철강연구센터장은 “중국의 공급과잉은 이미 10년전 예견된 사항이지만 우리의 대응은 적절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실화 기업을 필두로 철강 산업전반의 구조조정과 개편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끊임없는 구조조정과 기술개발로 경쟁력을 회복한 일본과 마찬가지로 국내 철강산업도 체질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이뤄야한다”고 조언했다.

공문기 수석연구원도 “한국 철강산업이 당면한 위기는 구조적 전환기에 나타난 현상으로 정부와 기업의 역할 분담을 통한 체계적인 대응 추진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철강 산업 구조조정 구상은 금융 공기업의 단기적 성과보다는 중장기적 산업 경쟁력을 우선시하는 의사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고이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