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넉 달째 '동결'…사실상 인하 끝난 듯
[미디어펜=이원우 기자]한은 기준금리가 10월에도 동결되면서 연내 추가인하 가능성이 낮아졌다. 가계부채 문제를 비롯한 금리인하 제한요인에 한은도 부담을 느낀 눈치다. 한편 내년 경제성장률은 2.8%로 하향조정 됐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을 예견했다.

1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오전 기준금리를 연 1.25%로 유지했다. 지난 6월 전격 인하 이후 4개월째 동결이며 금통위 7인이 만장일치로 '동결' 의견을 냈다. 세부 내용을 보면 금통위는 미국 기준금리의 움직임과 가계부채 문제를 여전히 의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 한은 기준금리가 10월에도 동결되면서 연내 추가인하 가능성이 낮아졌다. /한국은행


금통위 종료 직후 기자간담회를 주재한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는 향후 세계경제 전망에 대해 "완만하나마 회복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미국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브렉시트 관련 불확실성, 신흥시장국의 경제 상황 등에 영향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리 동결의 주원인으로 손꼽히는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서 이 총재는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예년 수준을 상회하는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고 진단했다.

간담회 말미 질의응답 시간에 이 총재는 경제주체들의 심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특히 이날 발표된 '통화정책방향' 문서에는 지난달까지 빠짐없이 포함됐던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다소 호전됐다"는 표현이 누락돼 그 이유에 이목이 집중됐다. 

이 총재는 "소비자와 기업가들의 상황인식이라는 건 시차를 두고 나타난다"면서 "이번 달에 경제주체들의 심리에 대한 언급이 빠진 것은 경제 심리에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는 뜻으로 이해해 달라"고 주문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 금통위는 이제 올해 두 번밖에 남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이미 금리 '인상'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대선을 앞둔 만큼 10월과 11월 금리는 움직이기 힘들 것이란 전망이 많지만 '12월 인상설'에는 상당한 무게가 실려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임박한 만큼 한국으로서는 '인하' 카드를 쓸 수 있는 여건도 제한될 전망이다.

이날 이주열 총재 또한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을 인식한 듯한 발언을 했다. 이 총재는 "재닛 옐런 의장의 발언이나 여타 연준위원들의 성향에 비춰볼 때 점진적으로 (미국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보는 게 대체적 시각"이라면서 "단언하긴 힘들지만 (미 연준이) 연내에 1회, 내년에는 2회 (금리) 인상이 적절하다는 게 다수 위원들의 생각"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이날 '2016~17년 경제전망'을 함께 발표하면서 기존 2.9%로 발표됐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로 0.1%p 하향조정했다. 

세부 내용을 보면 한은 측은 "민간소비는 소득여건 개선 미흡 등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라고 언급해 하향조정의 원인을 암시했다. 건설투자에 대해서도 "건물건설 선행지표 둔화, SOC 예산규모 축소 등으로 증가세가 점차 둔화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하향 조정되긴 했지만 한국은행의 성장률 전망치는 여전히 타 기관에 비해서는 높은 편이다. 특히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생산 중단, 현대차 파업,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등의 악재가 겹쳐 대다수 기관들은 2% 초중반 대의 성장률을 전망한 상태다.

한은의 전망치가 다소 높은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이 총재는 "경기회복을 촉진할 수 있는 상방 요인도 있다"면서 "원자재 가격이 회복되면 그에 따라 글로벌 신흥시장국 중심으로 성장세 높아지는 효과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경기회복 요인이 아직 살아있는 만큼 0.1%p 정도의 조정으로 충분하리라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