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그룹 경영활동 마비, 최태원 공격경영 두각
경기침체와 정국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재계에서는 SK그룹만이 연초부터 대형 인수·합병(M&A)을 잇따라 성사시키는 등 독자적인 행보를 보여 정상적인 경영 활동을 펼치지 못하는 다른 그룹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 최태원 SK그룹 회장

지난달 SK는 작년 14조원보다 21%나 증가한 그룹 역대 최대 규모인 연간 17조원 투자 계획을 내놨다. 17조원 중 11조원은 국내 시설에 투자할 예정으로 이는 SK그룹의 역대 연간 국내 시설 투자 규모로는 최대로 꼽힌다.

SK그룹은 인수합병(M&A)과 지분투자 등에도 지난해 3조1000억원보다 50% 이상 증가한 4조9000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인수협병과 관련해 SK이노베이션은 미국 화학업체 다우케미컬의 고부가가치 화학사업 중 하나인 에틸렌 아크릴산(EAA) 사업을 3억7000만달러(약 4269억원)에 인수한다. 앞서 지난달에는 SK㈜가 LG실트론을 인수하는 62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성사시키기도 했다. 

그룹 계열사 가운데서는 SK하이닉스가 올해 가장 많은 7조원을, SK이노베이션은 올해 최대 3조원, SK텔레콤은 향후 3년 동안 11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그룹 채용 규모도 지난해보다 100명 정도 늘어난 8200명으로 잡았다.

SK그룹은 삼성, 현대차 등 다른 그룹과 달리 지난해 12월 주력 계열사 CEO를 교체하는 임원 인사를 정상적으로 단행하기도 해 주목을 받았다.

SK그룹은 지난 인사에서 신성장엔진 확보 관련 사업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해 전략위원회를 신설했다.

재계에서는 이 같은 적극적인 행보는 투자를 확대하고 인재를 더 확보해 대내외의 불확실성을 정면돌파해 나가겠다는 최태원 회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전해진다.


◇ 전경련, 급한 불은 '차기 회장'…이사회·정기총회 촉각

   
▲ 전국경제인연합회

재계의 맏형 격인 삼성전자의 공식 탈퇴로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정체성이 붕괴되면서 향후 행보에 재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지난 7일 정식 탈퇴원을 낸 데 이어 다른 삼성그룹 계열사도 10일 탈퇴할 뜻을 공식화하자 다른 회원 대기업도 전경련을 탈퇴할 가능성이 커졌다.

4대 그룹 중 LG그룹은 이미 지난해 12월 전경련에 탈퇴하겠다고 공식 통보했다. SK그룹 역시 최태원 회장이 지난해 국회 청문회에서 탈퇴 의사를 밝힌 이후 회비 납부를 하지 않는 등 사실상 전경련 활동을 중단한 상태다. 공식적으로 탈퇴 의사를 밝히지는 않은 현대차그룹도 향후 활동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그룹의 15개 계열사가 전경련에 내는 회비는 2015년 한 해 동안 133억원으로 전체 회비 492억원의 27%에 달한다.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이 낸 회비는 총 378억원으로 전체의 77%에 해당한다. 

전체 회원사는 600개를 상회하지만 이 중 4대 그룹 계열사들만 이탈해도 전경련은 버티기 어렵다. 협회 운영비를 거의 모두 회비로 충당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요 회원사들의 무더기 탈퇴로 사실상 와해 수순에 접어든 전경련은 정기총회의 사전 절차인 이사회를 17일 진행한다. 이번 이사회는 회장단, 상임이사, 이사를 비롯해 회원사 150여 곳이 참석 대상이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GS그룹 회장)의 후임을 선출하는 정기총회는 오는 24일 열기로 잠정적으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사회는 그간 형식적 절차의 하나로 열려왔으나, 이번은 전경련 회비 문제를 결정하는 민감한 사안이 걸려 있어 재계의 관심이 모아진다. 

재계 안팎에서는 허창수 회장의 후임이 정해지지 않는 한, 현실적으로 쇄신안이 정상 궤도에 오를 수 없다는 의견이 대체적이다. 

[미디어펜=김세헌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