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재편·구조조정 통해 1분기 실적 모두 '파란불'
보호무역 심화 등 대외 불확실성 여전 "체질강화"
[미디어펜=김세헌기자] 글로벌 공급과잉의 여파에도 올해 1분기 철강산업의 실적은 양호하다. 이른바 철강 '빅2'로 불리는 포스코와 현대제철 모두 구조조정과 원가 절감 노력을 통해 이익을 내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 포스코와 현대제철

28일 포스코와 현대제철, 철강업계에 따르면 먼저 포스코는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5조 772억원, 영업이익 1조3650억원, 순이익 9769억원을 달성했다.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소폭 늘었고, 철강부문 이익 증가와 트레이딩 및 E&C부문 등 비철강부문 계열사의 고른 실적 호조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189.4%나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전분기 3.1%에서 6%포인트 늘어난 9.1%였다.
 
부문별 합산 영업이익의 경우 철강 부문과 트레이딩 부문은 전분기대비 각각 60.8%, 60% 증가한 1조234억원, 1267억원을 기록했고, E&C부문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에너지 부문도 전분기대비 26.7% 증가한 750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주요철강법인의 실적도 큰 폭으로 호전돼 전체 영업이익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 3고로 확대 개수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생산, 판매량은 다소 감소했으나, WP(월드프리미엄)제품 판매비중이 전분기보다 2.4%포인트 오른 53.4%를 기록하는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증가와 원가절감, 수익성 향상 활동 지속, 철강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률은 전분기 대비 3.7%p 상승한 11.3%를 기록했다.
 
부채비율의 경우 별도기준 17.6%, 연결기준 71%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1.6%포인트, 6%포인트 감소하는 등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국내 계열사를 올해 말까지 32개로 줄여 권오준 회장 취임 이후 지속해온 구조조정을 올해 마무리함과 동시에 그룹 핵심역량을 근간으로 한 스마트 체제 전환(Smart Transformation)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발혔다.

현대제철도 비교적 안정적인 실적을 냈다. 회사의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349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9% 늘었다. 매출액은 4조5741억원으로 22.2% 증가했다.

자동차산업 성장세 둔화, 조선산업 침체 등 수요산업이 부진했으나, 철강재 가격이 오르고 자동차 외판용 냉연, 고강도 철근 등 전략제품 판매가 늘어난 것이 호실적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또 원료의 전략적 구매, 수익창출형 조업체제 강화 등을 통해 1014억원에 달하는 원가절감을 달성한 것도 양호한 실적을 이끌어낸 요인으로 꼽혔다.

   
▲ 글로벌 공급과잉의 여파에도 지난해 포스코, 현대제철 등 주요 철강업체의 실적은 양호했지만, 올해는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입국의 보호무역 강화가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해 3분기 착공에 들어가 현재까지 주요 시설과 골조 공사를 마친 현대제철은 올해 하반기 시운전을 거쳐 내년 1분기부터 상업생산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용 강재 분야에서도 3세대 고기능성 냉연강판을 개발해 내년 초도 양산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회사 차원의 노력이 양호한 실적으로 나타났다"면서 "향후에도 수요산업별 업종과 시황에 맞춘 계획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수익 증대 구조를 갖춰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같은 실적 호조에도 앞으로 철강업계 앞에 놓인 길이 순탄치는 않아 보인다.

글로벌 공급과잉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보호무역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어 수출길이 더욱 좁아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철강업계는 지속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면서도 대내외적 불확실성에 대응한 맞춤 전략을 계속 짜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후판, 강관 등 구조적인 공급과잉 품목에 대해서는 설비 조정·매각, 냉연과 도금 같은 경쟁우위 설비는 인수합병(M&A)을 비롯한 사업재편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기존의 주력품목에 대한 경쟁력이 떨어진 철강산업이 재도약할 길은 4차 산업혁명에서 찾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철강업계가 자동차, 항공, 3차원(3D) 프린팅 등 수요산업의 4차 산업혁명을 뒷받침하는 산업으로서 초경량, 이종결합, 3D 프린터용 소재 등과 관련한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철강산업은 글로벌 공급과잉의 소폭 완화와 가격 상승에 따른 실적 개선이 예상되지만 후판, 강관 등 구조적 공급과잉 품목의 사업재편을 지속해서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