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향 확산되려면 시간 다소 걸릴 듯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이 확실시 되는 가운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역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암시해 국내 금융계에 충격파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발 금리인상 움직임이 한국에까지 확산되려면 시간이 다소 걸릴 것으로 보인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들어 업계 안팎에서 ‘금리 인상’ 기조가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미국의 연준이 기준금리를 상승할 것이 확실시 된다. 시장은 이번 회의에서 미국이 기준금리를 연 1.00~1.25%로 인상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정확한 결과는 한국 시간으로 15일 새벽에 전해진다.

   
▲ 사진=연합뉴스


예상대로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경우 미국의 기준금리는 한국의 연 1.25%와 동일한 수준이 된다. 만약 ‘9월 추가 인상설’마저 현실로 드러날 경우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단순하게 생각했을 때 이자수준이 더 높은 미국으로 자금이 빠져나갈 우려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았던 2005년 8월∼2007년 8월간 국내 증권 시장에서 총 19조 7000억원의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간 전례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반복될 경우 최근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호황을 누리고 있는 한국 증시의 단기 충격은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증시 활황을 주도하고 있는 ‘큰손’이 외국인 투자자들이라 더욱 그렇다. 만약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질 경우 대규모 자금이탈이 발생해 증시를 비롯한 국내 금융계가 타격을 입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결국 이와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해 국내 기준금리 또한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자연스럽게 제기된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또한 지난 12일 서울 중구 한은 강당에서 열린 창립 67주년 기념식에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며 금리 인상 시사해 큰 주목을 받았다.

문제는 금리조정 타이밍이다. 이 총재가 운을 띄우기는 했지만 기준금리 인상이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이 지금으로써는 그리 높지 않다는 지적이 우세하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수출 및 생산 관련 기업지표는 대체로 양호한 반면 소비, 고용쪽 지표는 여전히 좋지 않다”면서 “금리 인상시 가계의 이자비용 부담 증가 등으로 서민들의 삶이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금리 인상은 생각만큼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변수는 가계부채의 증가 속도다. 이 연구위원은 “현행 1360조원 수준인 가계부채가 계속 이렇게 빠르게 증가한다면 연말쯤 인상 시그널을 강하게 주지 않을까도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결국 가계부채가 국내 기준금리 인상의 주요 변수가 되고, 나아가 국내 증시에도 다각도로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