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뇌관' 가계부채 부실화 우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이 기준금리를 3개월 만에 0.25%포인트 인상함에 따라 가계부채 문제가 우리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미국 금리인상으로 국내 시중금리 상승세에 속도가 붙을 경우 저소득·저신용 등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채무상환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미국이 기준금리를 3개월 만에 0.25%포인트 인상함에 따라 가계부채 문제가 우리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미국 금리인상으로 국내 시중금리 상승세에 속도가 붙을 경우 저소득, 저신용 등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채무상환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사진=미디어펜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정책금리를 연 0.75~1.0%에서 1.0~1.25%로 0.25%포인트 올렸다.

이는 지난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상향한지 3개월 만에 또 다시 인상한 것이다. 연준은 올 하반기 한차례 더 기준금리를 올릴 계획임을 시사했다.

이날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1.25%)는 같아지게 됐다. 미국의 금리가 우리나라와 비슷해지거나 역전될 경우, 외국이 투자자금 유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은행은 이 같은 점을 감안해 최근 금리인상 신호를 시장에 보내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2일 한은 67주년 창립기념식에서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될 경우에는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고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처음으로 시사했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역대 최대 수준인 가계부채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올해 1월 말 가계부채는 1359조7000억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다. 금리가 인상되면 취약차주의 부채상환에 부담이 가중되면서 가계부채 부실화가 우려된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경우 부채 보유가구의 연 평균 이자부담은 42만원 더 늘어난다. 특히 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의 40%를 초과하는 한계가구는 평균보다 2배 높은 연간 83만원의 이자를 더 부담해야 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 주택담보 대출 금리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금리가 상승할수록 부채상환능력이 취약한 가계의 부채 부실화 위험도는 커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은에 따르면 가계대출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연간 약 9조원의 이자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차주의 부도확률은 0.04%포인트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인 14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 부담이 가중될 위험이 커지면서 정부는 긴급 점검회의를 열어 대응방향을 논의하는 한편 국내 금융시장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