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상환 부담 커진 한계가구 가계부채 '걱정'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 금리인상의 여파로 국내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일제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 미국 금리인상의 여파로 국내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일제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사진=미디어펜


올해 하반기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예상되는 데다 한국은행이 통화긴축 신호를 시장에 보내면서 금리인상폭이 더욱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리가 인상되면 채무상환 부담이 커져 가계지출 감소로 이어져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KEB하나‧우리 등 시중은행의 지난 16일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가 일제히 올랐다.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로 활용되는 코픽스(COFIX)가 전달보다 0.01포인트 오른 점을 반영한 것이다.

시중은행은 코픽스 금리에 신용위험도 등을 고려해 가산금리를 더해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결정한다.

신규 코픽스는 지난해 12월 연 1.56%로 집계된 후 계속 떨어지다 다섯 달 만에 반등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이 미리 반영돼 시장금리가 올라간 영향으로 풀이된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변동금리가 하반기로 갈수록 상승폭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이 예상되고, 이주열 한은 총재가 ‘통화 긴축’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본격적으로 금리가 오를 것이란 관측이다.

문제는 금리상승으로 인한 저소득(하위 30%)‧저신용(7~10등급) 취약차주의 대출상환부담이 가중될 것이란 점이다. 경기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면 갚아야 할 빚의 총량이 늘어나 가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현재 가계부채는 1360조원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저신용‧저소득 취약계층은 150만 가구로 이들의 부채 총량은 지난해 말 78조6000억원이다. 한은은 대출금리가 0.5%포인트 오르면 가계의 이자 부담은 연간 4조6000억원 늘어난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