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사 잠정합의안 22일 찬반투표
업계 “파업 재개·장기화시 자금난 우려”
[미디어펜=최주영 기자]현대자동차 노사가 임금협상에 잠정합의하면서 오는 22일 찬반투표를 앞둔 가운데 자동차 부품업계가 초긴장 상태다.

자동차 내장재 부품업체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 파업에 따라 그동안 직원들의 휴가나 근무시간 조정을 통해 가동률을 줄여 대응해왔지만 이후 열리는 전체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파국을 맞는다면 생산 감소에 따른 피해를 감당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 2018년 임단협 장점합의안 도출에 성공한 현대차 노사/사진=연합뉴스


앞서 현대차 노사는 지난 19일 오후 울산공장 아반떼룸에서 39차 임단협 교섭을 열고 기본급 5만8000원 인상, 성과급 300%에 280만원 지급, 중소기업 제품 구입 시 20만포인트 지원 등에 잠정 합의했다. 이날 잠정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추가 파업으로 인한 생산손실 규모가 커져 파국을 맞을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협상을 시작해 힘겹게 합의점을 찾았다.

다만 잠정합의가 최종 합의는 아니라는 점에서 아직 해결할 문제는 산적하다. 일단 노사는 전체 조합원 찬반투표를 거쳐 과반 이상의 찬성표를 얻어야 하며, 부결될 경우 임단협은 내년으로 미뤄진다. 현대차를 제외한 기아자동차와 한국지엠도 이날 노사 임단협 본교섭을 진행하는 만큼 완성차 업계는 연내 타결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지역업체들은 더이상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가동률 하락에 따른 매출 감소로 자금난이 악화돼 도산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어 우려가 고조된다.

사측은 노조의 18차례에 걸친 파업으로 6만2600여대에 생산 차질이 생겨 1조3100억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추산했다. 노조는 이달 5일부터 3주연속 거의 매일 파업에 나서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자동차 부품업체는 국내 완성차 납품 의존도가 높아 완성차 판매 부진이 장기화 될 경우 타격을 고스란히 입는 구조다. 파업에 따른 납품기한과 물량을 맞추지 못한 피해를 소비자가 아닌 제조사에 보상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현대차그룹과 분기 단위로 납품계약을 맺은 한 부품업체는 노조 파업 여파로 인해 납품량이 50%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 현대차 코나 /사진=현대차 제공


올 상반기 완성차 업계의 부진한 업황과 함께 중국 사드 보복 여파로 부품업계의 매출은 곤두박질쳤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1~6월 누적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216만2547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3만3296대 떨어졌다. 이는 상반기 기준으로 209만9557만대를 기록한 2010년 이래 7년 만에 최저치다. 현대차는 사드 보복 이후 중국 내 판매량이 전년 대비 40% 급감하면서 부품 공급 중단 사태까지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 11월까지 완성차 등록대수는 382만7602대로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했지만 현대차의 경우 12월 1~3주 연속으로 노조 파업이 진행된 만큼 생산량 감소분 반영되면 연간 실적 감소가 예상된다는 전망이다.

내년 완성차 업계 전망이 어둡다는 점도 부품업계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다. 현대차는 내년 세계 자동차 시장은 신흥국 시장의 수요 증가에도 중국, 미국 등 주요국 시장의 판매 감소 여파로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보성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 이사는 지난 8일 "내년 자동차 시장은 위축될 것"이라며 "내년 세계 자동차 판매량은 9372만대로, 올해보다 1.2% 증가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증가율이다. 

특히 내수는 주요 브랜드들의 신차 효과가 줄어들면서 올해 대비 1.1% 감소한 180만대 생산이 예상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국내 완성차 물량 대다수를 차지하는 현대차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지역 협력업체들이 자칫 도산 위기에 처할 수도 있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부품업체 관계자는 "현대차 파업 이후 생산라인을 줄이는 등 조정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전체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파국을 맞을 경우 중소 부품업체 중에서도 2.3차 협력업체들은 더이상 어려움을 이겨내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 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최주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