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가스 증산…국제유가 상승 억제
수입규제 증가 및 에틸렌 공급 과잉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석유화학업계가 미국 정부와 셰일가스 업체의 움직임에 희비가 교차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5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뉴욕 거래소에서 배럴당 65.45달러에 거래를 마쳤으며, 브렌트유와 두바이유는 각각 68.58달러·65.74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배럴당 20달러대를 기록한 2015년 대비 3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국제유가가 향후 80달러를 넘어 100달러까지 갈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 롯데케미칼이 설립한 말레이시아 법인 'LC타이탄'(왼쪽)·LG화학 나주공장 고부가 첨단소재 연구개발센터 조감도(오른쪽)/사진=각 사


업계는 석유제품인 납사를 원료로 쓰는 국내 업체의 경우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산유국들의 감산 연장 등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원가 부담이 늘고 미 셰일가스를 원료로 쓰는 업체들의 경쟁력이 향상돼 국제유가가 70달러선을 넘을 경우 실적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설명했다.

반면 동시에 셰일가스의 채산성을 증가시켜 생산량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국제유가 상승 억제 요소로 작용한다고 부연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넷째 주 미국의 일일 평균 원유 생산량은 975만배럴 수준으로 집계됐으며, 1000만배럴을 돌파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채굴을 비롯한 셰일가스 기술의 증가로 이전과 달리 국제유가가 배럴당 40달러대에 머물러도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유가 상승은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 국제유가가 배럴당 65달러 선에서 등락을 거듭하는 가운데 미 셰일가스 증산이 가격 상승을 억제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사진=한국석유공사


그러나 업계는 미국의 반덤핑 과세를 비롯한 수입규제와 공급과잉으로 피해를 보는 측면도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은 16년 만에 태양광 셀과 모듈 등을 대상으로 세이프가드 발동을 위한 조사를 진행했으며, 페트 수지·합성고무·가소제 등에 반덤핑 과세를 부과하기도 했다.

아울러 북미지역에서 신규·증설 설비들이 가동을 시작하면서 에틸렌 공급이 증가, 공급과잉으로 인한 스프레드 증가가 우려된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에탄 분해 설비(ECC)가 잇따라 상업운전을 시작했으며, 올해도 840만톤의 신증설이 예고됐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도 세계 경기 회복으로 석유제품 수요가 증가해 공급이 늘어도 제품 가격이 높게 형성됐다"면서도 "부당한 수입규제 및 원가 상승 요인 등에 기민하게 대응해 호실적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