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하늘 기자] 최근 각 기업들의 리콜 규모가 늘어나며 이와 관련한 ‘리콜 보험’ 역시 주목을 받고 있다.

   
▲ 사진=미디어펜


9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리콜로 인한 기업의 손실은 50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구체적 사례로는 2016년 삼성 핸드폰 배터리 발열 사태와 2015년 일본 타카타사 에어백 결함, 2014년 미국 GM사 차량 점화스위치 결함 등이 있다. 이러한 대규모 리콜로 인해 평균 60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 세계 소비자를 대상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이 증가하고 동시에 많은 제조업체에서 아웃소싱, 부품·원료와 플랫폼 공유를 통해 제품을 생산함에 따라 품질 문제가 발생할 경우, 리콜의 파급효과는 산업 전체로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제품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주요국에서는 생산물 안전 및 소비자 보호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리콜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산업별로 차이는 있으나 리콜의 발생빈도와 규모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리콜 보험 청구금액 기준으로는 자동차가 71%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음식료품(16%), IT(3%) 산업 순이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글로벌 아웃소싱이 확대되고 빠른 제품출시에 따른 테스트 시간 단축 등으로 인해 리콜이 증가하고 있으며, 규모와 빈도 측면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 2016년 미국의 자동차 리콜 건수(5320만 대)는 2012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2015년 일본 타카타사는 에어백 결함 리콜로 250억달러의 손실을 입었고 파산을 신청했다. 

이에 보험업계 전문가들은 리콜보험이 제품 회수와 영업중단 등에 따른 기업의 재무적 손실비용을 보상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평판 및 브랜드 가치를 회복하는 데에도 상당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유미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은 리콜로 인해 단기적으로 제품 관련 손실비용과 장기적으로 기업의 브랜드 가치 회복을 위한 비용까지 발생하므로 손실의 규모는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며 “소비자 보호를 위한 규제와 제도적 장치, 소셜미디어의 영향력 확대 등으로 리콜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은 이에 대한 리스크를 인식하고 리콜보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