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폭염 능가하는 더위…전력수요 '폭발' 예상
전력수요 예측 불안…지난 겨울 급전지시 10차례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올 여름에 1994년의 폭염을 능가하는 역대 최악의 더위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산업계가 전력수요 급증에 따른 '블랙아웃'을 우려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올 여름 일일 최대 전력수요를 8만8300MW로 전망했으며, 이 시점에서의 공급능력 및 예비율을 각각 10만710MW·1만2410MW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말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명시된 하계 최대 전력수요 대비 80만kW 늘어난 것으로, 산업부는 △예상치 못한 폭염 △대형발전소 불시정지 △송전선로 이상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681만kW의 추가 예비력 확보 및 단계별 수급안정화 대책도 실시할 예정이다.

그러나 업계는 지난 겨울 일일 최대 전력수요를 8만5200MW로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북극발 한파에 영향으로 8만7250MW의 수요가 발생하는 등 예측이 실패하면서 10차례 급전지시가 발령된 것을 근거로 올 여름에도 급전지시가 내려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지난 16일 기준 전력수요가 8만6300MW에 달하는 등 이미 산업부의 예측치에 다가서는 가운데 최대치가 예상되는 8월 2~3주를 전후로 '만일의 사태'가 발생할 경우 또다시 예측 실패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 (왼쪽부터) 포스코·현대제철 현판/사진=각 사


또한 이번 폭염으로 지난 17일 기준 지난해 동기 대비 28% 증가한 79만마리의 가축이 폐사하고, 혹서기 폭염이 예년 대비 20일 가량 당겨지는 등 '역대급' 더위로 인한 피해가 현실화될 것으로 보여 산업부의 예측치가 지나치게 보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 여름은 정비 문제로 원전 8기의 가동이 멈췄던 지난 여름과 달리 2기가 재가동되지만, 신고리 1호기·고리 3호기 등의 원전이 정비 완료 이후에도 문제가 발생해 출력 저하 및 가동 중단에 들어간 바 있다는 것도 블랙아웃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탈원전 정책 추진을 위해 2030년 최대 전력수요를 3년전 수립한 7차 수급계획 대비 12.7GW 낮추는 등 계획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과거 예비율이 충분한 경우에도 전력 사용량이 목표 수요에 다다르면 자동적으로 수요감축요청(DR)을 발동했던 것도 지적됐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DR은 안정적인 기업활동 뒷받침을 위해 예비력이 1만MW 이하로 낮아지는 상황에서 전력수요가 8만8300만MW를 초과할 것으로 보이는 경우에 실시하고, 요청시에도 하루 전에 예고할 예정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 신고리 1·2호기 전경/사진=연합뉴스


업계는 급전지시가 발령될 경우 생산라인 중단 및 재가동에 시간이 많이 걸려 생산 차질에 따른 납기일 문제가 발생하면 기업의 신뢰도 저하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이를 해소하기 위해 주간 작업을 야간 작업으로 변경할 경우 야근 수당 등 인건비 부담이 늘어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근로시간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급전지시에 동참하면 인센티브를 받지만 손해가 더 큰 상황으로, 지난 겨울처럼 10차례나 내려질 경우 생산차질이 불가피하다"며 "특히 전력사용량이 많은 철강·석유화학을 중심으로 이같은 우려가 가라앉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DR은 전력사용이 집중되는 시간대에 전력거래소가 사용량을 줄이는 소비자에게 시장 가격 만큼 보상하는 제도로, 2011년 9월15일 발생한 대정전 등의 비상사태 예방을 위해 2014년 11월부터 시행됐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