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소비자보호 판도 바꿨지만…공급자 압박·금융위 갈등 문제 부각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정명(正名)’ 금융계 저승사자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수장으로 자리하며 강조한 단어다. 연이은 전임 원장들의 낙마 후 등장한 그는 금융감독원의 신뢰회복을 위해선 이름을 찾는데부터 시작해야한다고 강조했다. 

   
▲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사진=금융감독원


윤 원장이 이끈 1년간의 금감원은 적어도 금융 소비자 보호 측면에선 본연의 이름을 찾은 듯 보인다. 

다만 업계 안팎에선 지나친 소비자 보호를 향한 치우침은 오히려 윤 원장에게 독약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윤 원장은 취임후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업무에 매진했다. 그동안 공급자 입장에서 흘러가던 금융시장의 판도를 바꾼 것도 그였다. 

윤 원장은 보험사에 1조원대의 즉시연금 추가지급과 암보험금 지급 권고를 통해 보험사들에 대항한 소비자들의 든든한 뒷배가 돼주기도 했다.

수출 중소기업에 큰 피해를 끼친 외환파생상품 키코(KIKO) 역시 전면 재조사에 나서며 금감원의 소비자 보호 강화 기조를 업계에 강력하게 보여줬다.  

다만 지나친 공급자 압박 정책기조는 오히려 금감원의 위상에 흠집을 내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금융위원회와의 갈등도 가시화되며 금감원의 소통 능력 또한 화두로 오르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종합검사 부활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종합검사 부활에 대해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시하며 반려를 했지만 윤 원장은 뚝심있게 밀어부치며 첫 검사대상 지목을 완료했다. 

윤 원장은 과거와는 확연하게 다른 종합검사를 외쳤지만 현재까지도 실상은 달라진 것이 없다는 비판도 거세게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종합검사 첫 타자로는 KB금융, KB국민은행, 한화생명이 낙점됐다.

즉시연금사태는 금감원과 업계의 대립각을 보여주는 사례다. 윤 원장이 1조원대의 보험금 지급과 관련, 소비자의 소송까지 전면 지원하고 나서자 지나친 압박이라고 생각한 금융사들은 금감원과 소송전까지 불사하며 반기를 들고 일어섰다. 이는 검사기관의 위상을 뒤흔들기 충분했다.

윤 원장은 지나온 1년보다 앞으로 남은 임기가 더 길다. 윤 원장의 1년을 지켜본 업계 전문가들은 그에게 ‘밸런스’라는 단어를 추천했다.  

금감원 직원들에게 불필요한 야근 축소와 일과 생활의 균형 등을 강조하며 매월 넷째주 프리미엄 프라이데이를 시행해 워라밸 문화 정착을 유도한 그는 이제 공급자와 소비자를 보는 시각의 밸런스를 찾아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 쪽으로 쏠린 기둥은 언젠간 무너지기 나름이다. 공급자를 궁지로 몰아 금융 소비자 보호를 얻어내는 식이라면 금감원의 기둥은 미풍에도 가차없이 흔들릴 것이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