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생산기지, 반도체 수급난 악화
생산 안정화로 통한 수출 확대 기회 잡아야
[미디어펜=김태우 기자]르노삼성자동차를 제외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올해 임금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돌입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고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와 4차산업 재편에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고용안정과 미래 경쟁력 확보 위한 화합을 이뤄냈다는 평가다. 

르노삼성은 지난해와 올해 2년치의 임금협상이 남아있어 쉽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지난주 본격적으로 재협상에 돌입한 만큼 추석 전 타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수출을 위해 평택항에 대기중인 자동차들./사진=미디어펜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한국지엠은 지난 23일부터 진행된 2차 임금협상잠정합의안 찬반투표에서 찬성 65.7%로 가결됐다. 

한국지엠 노사는 지난 5월 27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약 3개월간 줄다리기를 했지만 과거 해를 넘겨서까지 교섭을 이어간 사례를 감안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 당초 목표였던 여름휴가 전 타결은 실패했지만 추석 전 타결은 이뤘다.

올해 극심한 판매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한국지엠으로서는 조속한 임협 타결을 통한 안정적인 수출 물량 생산이 필수적이었다.

한국지엠 노사는 1차 잠정합의안인 △기본급 3만원 인상 △일시/격려금 450만원 △정비 쿠폰 및 전통 시장 상품권 50만원 등에 더해 1인당 30만원 상당의 자사 브랜드 차량 정비쿠폰과 20만원의 재래시장 상품권을 준다는 내용에 합의했다. 

같은날 기아 노사는 13차 본교섭에서 2021년 단체교섭 잠정합의안을 도출하는데 성공했다. 코로나19 감염증 4차 대확산과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등 위기상황 속에서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미래차 대전환 시기에 맞춰 노사 공동 노력이 절실하다는데 공감한 결과다.
 
올해 기아 노사는 휴가 이후 매주 2~3회 이상의 강도 높은 교섭을 진행하며 상호 입장차를 조율하고, 예년보다 교섭기간을 크게 단축해 지난 6월17일 상견례 이후 2개월여만에 합의점을 찾았다.

특히, 올해는 파업으로 인한 생산손실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번 합의안에는 기본급 7만5000원 인상, 경영성과금 200%+350만원, 품질브랜드 향상 특별 격려금 230만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 상품권 10만원, 여가선용을 위한 특별주간연속2교대 포인트 20만 포인트 지급 등의 내용이 담겼다.

앞서 현대자동차 노사도 같은 조건으로 여름휴가 전 임단협 타결을 했고, 쌍용자동차는 법정관리 체제 하에서 자구안의 일환으로 교섭 없이 올해 임금‧복지 조건을 2019년 수준으로 동결했다.

반면 완성차 업체 중 유일하게 작년 임단협을 마치지 못한 르노삼성은 아직 노사간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르노삼성은 이날 오후 노사 교섭을 재개할 예정이다.

여름휴가 전 잠정합의안 도출에 실패한 르노삼성차 노사는 휴가 후 처음으로 지난 19일 교섭 테이블에 앉았으나 여전히 노사간 입장차가 존재해 교섭 장기화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XM3 수출에 차질이 생겨서 안된다는 데에 노사 모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데다 일찌감치 임금협상을 마무리한 현대차에 이어 한국지엠과 기아도 노사간 잠정합의안을 잇달아 도출하면서 르노삼성 역시 임단협을 조기에 마무리해야 한다는 부담이 커진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르노삼성의 경우 XM3 수출 물량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뤄져야 다음 신차 배정에도 유리하고 일자리도 지킬 수 있을 것이다"며 "고통 분담 차원에서 대승적으로 조속히 교섭을 마무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완성차 업계의 이같이 공통적으로 위기감을 느끼는 것은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차원이다. 글로벌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노조의 '파업 리스크'가 잔존한다면 반등의 기회를 놓치고 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심화되는 반도체 수급난과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돌파감염 등의 우려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에서 노사화합이 되지 않는다면 더 큰 리스크를 감수해야 된다는 문제도 있다. 

이에 완성차 업계 노사는 반도체 수급난 등의 위기에 대처하고 판매 모멘텀을 이어가야 한다는 의견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 으로 알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반도체 수급 상황에 따라 생산일정을 조절해야 될 만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반면 글로벌 시장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생산차질은 큰 손실로 번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노사가 하나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전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