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양극화 심화…브랜드 정리로 재무 개선 나서
[미디어펜=김견희 기자]국내 패션 기업들이 수익성이 떨어지는 중저가 브랜드를 정리하거나 온라인 전용 브랜드로 전환하는 등 재무 구조 개선을 위한 선택과 집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 사진=픽사베이

2일 업계에 따르면 LF는 자사의 남성복 브랜드 TNGT의  상반기 전국 오프라인 매장을 철수하고 온라인 전용 브랜드로 전환했다. LF 관계자는 "온라인 쇼핑에 익숙한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라는 점을 고려해 내린 결정이다"고 설명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 자회사 신세계톰보이도 올해 상반기에 남성복 브랜드 코모도의 오프라인 매장을 모두 철수하고, 자사의 온라인 쇼핑몰 '에스아이빌리지'에서 유통하는 온라인 전용 브랜드로 전환했다.

패션 기업들이 온라인 채널을 기반으로 하는 브랜드로 전환하는 이유는 시장 성장세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을 보면 올해 7월 내수 의류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 늘어났으며, 해당 기간의 온라인 채널은 11% 늘면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선택과 집중을 위해 브랜드를 완전히 철수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유아동복 브랜드를 보유한 제로투세븐은 최근 패션 사업부문을 접기로 했다. 이 회사는 그간 면세 채널을 중심으로 알로앤루, 알퐁소, 미미레브 등 유아동복 브랜드를 선보여왔으나 적자가 지속되는데 이어 국내 아동복 시장 경쟁이 심화하면서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

코오롱fnc도 지난달 아동복 브랜드 리틀클로젯 사업을 접었다. 지난 2020년 온라인 플랫폼 강화를 위해 리틀클로젯을 인수했으나 수익성 저하로 브랜드 철수라는 결정을 내렸다. 코오롱fnc는 자사의 강점인 여성복이나 아웃도어, 골프 등에 더욱 신경을 쓰겠다는 입장이다. 

한세엠케이도 올해 7월 매출이 급감한 브랜드 TBJ와 앤듀의 신제품 생산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브랜드 매출 감소 및 누적 영업손실 확대에 따라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 TBJ의 지난해 매출은 322억4199만 원으로 3년 전과 비교했을 때 50% 가까이 급감했다. 앤듀 역시 비슷한 수준으로 줄었다. 회사는 오는 2024년까지 회사에 손해가 적은 방향으로 사업을 차츰 정리해간다는 방침이다. 

패션 기업들이 중저가 브랜드 정리에 나선 이유는 패션 양극화에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저가 패션 브랜드들이 갈수록 설 자리가 줄어드는 이유는 패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며 "유명 해외 브랜드나 명품을 구매하거나 트렌드 반영, 생산 속도가 빠른 SPA 브랜드로 소비가 양분되면서 중저가 패션 브랜드 사업을 이어가기 힘든 시장 환경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이유에서 모든 브랜드들을 운영하기 보다 실적이 좋은 브랜드 위주로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펼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