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여론 확인하면서 미래 여론 형성하는 '동전의 양면'
응답 의사, 정치관여 의사 높으면 ARS조사 응답률 높아
표본오차 내 격차·변동, 통계상 '무의미'…과잉해석 금물
[미디어펜=22대 총선 TF팀 김규태 기자] 현대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선거 여론조사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 선거 여론조사는 현재의 여론을 살펴보는 것이지만, 이것이 역으로 미래의 여론을 형성하는 핵심 기제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특히 여론조사 결과는 유권자 투표의 방향을 가늠하는 예측력을 갖고 있어, 선거 전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다만 누구나 이 선거 여론조사 결과를 읽는데에는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사전 지식 없이 유권자가 여론조사에 나온 숫자(결과)를 오독하거나, 언론사가 여론조사 결과를 잘못 보도할 경우 유권자가 실제와 다르게 이해할 수 있다.

우선 한국에서 선거 여론조사의 모든 범위와 규정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여심위)에서 규제하고 있다.

반드시 선관위 산하 여심위 홈페이지에 공식 등록된 여론조사 결과만 언론사들이 보도할 수 있고, 유권자들이 이를 접할 수 있다.

이메일 수집이든 포탈 사이트 특정 게시판이든, 여심위 홈페이지에 등록되지 않은 여론조사는 선거 여론조사로 볼 수 없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인 2022년 6월 1일 서울 동작구 상도3동 제1투표소가 위치한 강현중학교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표를 행사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또다른 변수는 조사 방식이다.

최근 선거 여론조사를 수행하는 여론조사기관들은 조사원(사람)이 질문하고 답변을 받는 전화면접조사, 기계음으로 청취하는 ARS조사, 이 두가지 방식을 통해 응답자의 의견을 수집한다.

여기서 관건은, 선거 여론조사에 대한 응답 의사가 높을수록, 정치적 관여 의사가 높은 유권자일수록 ARS조사에 더 잘 응답한다는 것이다. 전화면접조사냐 ARS조사냐, 조사 방식에 응하는 응답자들의 성향이 다소 다르다는 것이다.

각 언론사는 이러한 차이를 감안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보도를 해야 하고, 유권자들은 이를 고려해 여론조사 결과를 이해하려는 것이 맞다.

유권자가 추가로 고려해야 할 변수는 바로 '표본오차'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인 2022년 6월 1일 서울 서대문구 홍은2동 주민센터 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기표를 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현재 대다수 여론조사기관이 선거 여론조사에서 채택한 모집단 규모(대부분 1000명대)에 따른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이다. 이는 ±3.1%P 내에서의 양자간 격차는 통계상 무의미하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가령 양당이 각각 40.5%, 38.0% 지지도를 보여 2.5%P 차를 보이더라도 이에 대해 '소폭 차이'가 난다고 보도하는 것은 '과잉 해석'이다. 대통령 지지도가 전주 조사에 비해 3.0%P 떨어진 것으로 나타난 사례에 대해 '소폭 하락했다'고 표현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유권자들도 이에 대해 실제 양당 간 격차가 난다고 치부하거나, 대통령 지지도가 소폭 떨어졌다고 생각할 필요가 없다. 표본오차 내 격차는 통계상, 숫자상 무의미하다. 여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언론 보도는 사실관계를 왜곡하는 '오류'다.

더욱이 표본오차는 (응답자가 몇 명인지) 모집단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전국단위 해당 여론조사의 표본오차가 ±3.1%P인 경우, 이 조사에서 특정 지역/연령대만 따로 떼어서 보게 되면 표본오차는 모집단 규모가 작아짐에 따라 더 커진다. ±3.1%P가 아니라 ±6.1%P, ±9.1%P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각 집단별 응답자 규모에 따라 표본오차를 다르게 봐야 한다.

근본적으로 여론조사는 경우에 따라 굉장히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사실관계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특히 언론사들이 선거 여론조사 결과만을 보도하게 되면, 정책 공약 경쟁이나 인물 검증에 대한 보도가 부족할 수 있다.

유권자들은 이를 감안해 최대한 정확하게 여론조사 결과를 이해해야, 실제 선거에서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