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국회 외교통일위원장과 화상회담서 주장
정부, 스위스 ‘인도적 교역 채널’ 활용 방안 모색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란 의회측이 국회측에 한국에 동결된 이란의 자산을 해결하면 억류 중인 ‘한국케미호’ 석방에 도움이 될 것이란 뜻을 전달했다.

29일(현지시간) 이란 관영 IRNA 통신에 따르면, 모즈타파 졸누리 이란 의회 국가안보‧외교정책위원장은 지난 27일 송영길 국회 외교통일위원장과의 화상회담에서 “한국이 이란의 동결된 자산을 신속히 돌려주면 억류 해제에 대한 사법부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말했다.

졸누리 위원장은 이어 “양국이 갈등 해결에 활용할 수 있는 문화, 사회, 정치·경제적인 역사적 배경과 오랜 관계를 갖고 있다”며 “미국의 대 이란 불법 제재로 한국정부가 이란의 자산을 동결했고, 동결 해제 약속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진지한 조치가 필요하다. 양국이 신뢰관계를 다시 형성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한국정부의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그러면서도 졸누리 위원장은 한국케미호 나포 이유에 대해선 “걸프만 해역 오염 문제 때문”이라는 기존 입장을 반복하면서 “이란 자산 동결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 지난 1월 4일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되는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 모습. 오른쪽이 이란 혁명수비대가 타고 온 고속정이다. 사진은 나포 당시 CCTV 모습. 2021.1.5./사진=연합뉴스

이에 송 위원장은 “한국은 다양한 분야에서 관계를 강화할 의지가 확고하다. 국회는 이란 자산 동결 문제 해결을 주장하고 있고 해결되길 기다리고 있다”고 답했다고 IRNA는 보도했다.

앞서 이란 사법부는 지난 4일 혁명수비대를 동원해 “기름 오염과 환경 위험이 있다”면서 아랍에미리트를 향하던 한국 국적 유조선 한국케미호를 억류했다.

현재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한국 내 은행에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 70억달러(약 7조8000억원)가 동결된 상태이다.

외교부는 선박 억류 해제와 동결 자금 해제를 논의하기 위해 이달 10일 이란에 교섭단을 파견한 바 있다. 하지만 교섭단은 이란과 입장차만 확인하고 빈손으로 귀국하면서 사태가 예상보다 장기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정부는 이란 동결자금 문제 해결을 위해 ‘스위스 인도적 교역 채널’(SHTA) 활용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이란 제재로 이란중앙은행(CBI)이 국내 은행에 개설한 원화 계좌에서 돈을 빼가거나, 이 계좌를 활용한 결제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미국이 예외로 제재를 면제해 주는 인도적 교역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